컨텐츠 바로가기

11.22 (금)

이슈 남북관계와 한반도 정세

‘북미대화 다시 급물살’ 제4차 남북정상회담 언제 어디서?(종합)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트럼프·김정은 역사적인 판문점 회동 이후 남북대화도 탄력

北, 통미봉남 기조 유지 속 文대통령 북미대화 막후 조율

4차 남북정상회담 개최 시기, 북미간 후속협상 속도에 좌우

형식은 판문점 원포인트 회담 또는 김정은 서울답방 관측

이데일리

문재인 대통령이 30일 오후 판문점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오른쪽)과 만난 뒤 북으로 돌아가는 김정은 국무위원장을 포옹으로 배웅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데일리 김성곤 기자] 북미정상의 역사적인 판문점 회동 이후 북미대화가 급물살을 타면서 제4차 남북정상회담 개최 여부에도 관심이 커지고 있다. 특히 북미간 후속협상이 속도를 내면서 한반도 평화시계가 정상 가동될 경우 북한 측이 남북관계 개선에 전향적으로 나설 가능성도 제기된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달 중순 북유럽 순방 과정에서 ‘선(先) 남북정상회담 개최·후(後) 한미정상회담 개최’ 로드맵을 제시했지만 북한 측이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으면서 무산된 바 있다.

◇트럼프·김정은 판문점 회동에 제4차 남북정상회담 개최 가능성 커져

지난달 30일 오후 분단의 상징인 판문점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함께 ‘북으로 남으로’ 오르내리는 역사적 장면을 연출했다. 지난 2월말 베트남 하노이 회담 결렬 이후 4개월간의 교착상태를 뚫은 것이다. 특히 한반도 평화 중재자를 자처해온 문재인 대통령이 사실상의 제3차 북미정상회담의 막후 조율사 역할을 해온 것으로 전해지면서 남북대화 진전도 탄력을 받게 됐다. 특히 문 대통령이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를 구축하기 위한 평화프로세스가 큰 고개를 하나 넘었다”고 언급한 점을 고려할 때 4차 남북정상회담 개최 가능성도 더욱 커졌다. 북한은 그동안 북미대화 중재와 관련, 통미봉남(通美封南)식의 태도를 유지하며 문 대통령의 중재자 역할을 깎아내렸지만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전날 판문점 회동 이후 헤어질 때 문재인 대통령을 포옹하면서 강한 신뢰를 보냈다는 점도 상징적이다.

◇베일에 가린 회담 시기와 장소 ‘북미간 후속협상 결과에 좌우’

우선 회담 시기는 유동적이다. 북미간 비핵화 후속협상 결과에 달려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북미 후속협상이 속도를 내면 제4차 남북정상회담 개최 시기도 빨라진다. 이르면 9월 이후 가을에는 제4차 남북정상회담이 성사되지 않겠느냐는 관측이다. 특히 지난해 12월 김정은 위원장의 서울답방이 성사 직전까지 갔다가 막판 변수로 무산됐던 점을 고려하면 남북정상이 결심만 하면 예상 외로 이른 시기에 정상회담이 가능하다. 문 대통령은 이와 관련해 여러 차례에 걸쳐 “시기·장소·형식을 묻지 않고 언제든지 대화에 응할 준비가 돼 있다. 김정은 위원장에게 달려있다”고 4차 남북정상회담 성사 의지를 강하게 나타낸 바 있다.

다만 회담 형식과 장소는 여전히 난제다. 우선 2차 남북정상회담 형식을 예상해볼 수 있다. 이는 북미간 후속협상의 진전에 맞춰 북미대화를 촉진하는 중재자 역할에 주력한다는 것을 전제로 지난해 5월 판문점에서 열린 원포인트 회담 형식이다. 이 경우에는 경호·보도·의전 등 번거로운 실무 절차를 상당부분 생략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반면 김정은 위원장이 지난해 9월 평양정상회담에서 공언한 만큼 서울답방이 성사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만일 김 위원장의 서울답방이 성사되면 이는 메가톤급 이벤트다. 분단과 전쟁을 거치면서 우리나라 땅을 밟은 북한 최고 지도자는 아직 없었다. 앞서 김 위원장의 선친인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경우 2000년 6월 고 김대중 전 대통령과의 정상회담, 2007년 10월 고 노무현 전 대통령과의 정상회담 이후 서울답방을 약속했지만 결국 지켜지지 못했다. 다만 김 위원장의 서울답방 문제는 남남갈등이 격화될 수 있다는 점이 변수로 작용할 수도 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