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진보교육감이 영재학교 추진 ‘논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남, 시설비만 400억…전교조·시민단체 “부적절 발상”

전남도교육청이 에너지·과학 영재학교(특목고) 설립을 구체화하고 나섰다. 그러나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위원장 출신인 교육감이 성적 우수학생 전유물이 될 학교를 세우겠다는 발상 자체가 부적절하다는 비판이 나온다.

장석웅 전남도교육감은 25일 취임 1주년 기자회견에서 “나주혁신도시에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에너지·과학 영재학교를 차질 없이 설립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특정 아이들을 위한 전유물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는 만큼 명문대 진학 통로가 아닌 영재성을 발굴해 한전공대나 카이스트 등 특화대학으로 진학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전남도교육청은 이 학교 규모를 12학급 정원 180명으로 정하고 한전공대가 개교하는 2022년부터 교육에 들어간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시설비 400억원을 투자하고 연간 운영비도 50억원을 지원하게 된다. 그러나 시민단체들이 반발하는 데다 ‘특권학교’ 설립에 반대 기조를 유지하고 있는 정부를 설득해야 한다는 숙제가 남아 있다.

학벌없는사회를위한시민모임은 성명을 내고 “특권과 반칙 없는 전남교육을 하겠다던 장 교육감이 영재학교를 설립하는 등 한 입으로 두말하는 이중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며 “교육불평등, 사교육비 증가를 야기시키고 공교육에 재앙을 초래하게 될 영재학교 설립 추진을 백지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교조 전남지부도 “나주시에 이미 설립돼 있는 전남과학고 등을 내실 있게 운영하는 것이 진정 영재교육을 활성화하는 방안”이라며 “영재학교 설립보다는 진보교육감답게 지역의 소외되고 배려가 필요한 아이들을 위한 교육정책을 더욱 적극적으로 추진하라”고 요구했다.

배명재 기자 ninaplus@kyunghyang.com

최신 뉴스두고 두고 읽는 뉴스인기 무료만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