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정부, 우리금융 잔여지분 내년부터 전량 매각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금융위, 18.3% 분산 매각 의결

7대 과점주주체제는 유지될 듯

정부가 보유한 우리금융지주 지분을 2022년까지 모두 매각해 완전 민영화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7개사로 구성된 과점주주 체제는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금융위원회는 지난 24일 제167차 공적자금관리위원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우리금융 잔여지분 매각 방안’을 심의·의결했다고 25일 밝혔다. 방안에 따르면 정부는 예금보험공사가 갖고 있는 우리금융 지분 18.3%를 2020~2022년 2~3차례에 걸쳐 분산 매각한다. 회차별 매각 물량은 시장수요를 감안해 최대 10% 내에서 조정하기로 했다. 예정가격을 상회하는 입찰자들 중 가격순으로 희망하는 가격 및 물량대로 낙찰하는 희망수량경쟁입찰을 먼저 실시하고 유찰·잔여물량은 최대 5% 내에서 시간 외 대량매매(블록세일)로 처리한다.

희망수량경쟁입찰 대상은 IMM프라이빗에쿼티, 동양생명, 한화생명, 키움증권, 한국투자증권, 유진자산운용, 미래에셋자산운용 등 현 7대 과점주주 또는 신규 투자자다. 정부는 2017년 과점주주 방식으로 우리금융 지분 29.7%를 매각했다.

이세훈 금융위 구조개선정책관은 “우리금융 주가가 1만3800원 수준만 되어도 공적자금은 100% 회수된다”면서 “주가가 어느 정도 범위에서 움직이면 일정대로 매각을 진행하되 금융위기 등 시장상황이 급변하면 공자위에서 다시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25일 현재 우리금융 주가는 1만3950원이다.

정부 지분을 매각하더라도 현재 2대 주주인 국민연금(8.37%)이 최대주주가 돼 주인 없는 회사가 되는 게 아니냐는 질문에는 “글로벌 금융사도 연기금이 대주주인 곳이 많고, 다른 국내 금융지주도 같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현재 우리금융 3대 주주는 우리사주조합(6.39%)이고 7대 과점주주 지분율은 각사당 0.52~5.69%씩 총 25.9%다.

정부는 1998~2006년 옛 상업·한일은행 등 5개 금융기관의 부실을 정리해 우리은행으로 합병하면서 공적자금 12조7663억원을 투입했다. 지금까지 회수된 공적자금은 11조1404억원(회수율 87.3%)이다.

유희곤 기자 hulk@kyunghyang.com

최신 뉴스두고 두고 읽는 뉴스인기 무료만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