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우리금융 정부지분 3년내 완전 매각… 24년 만에 민영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금융위, 예보 지분 매각안 의결 / 2020년 상반기부터 분산 매각 / 대규모 매물 주가 영향 고려 / 2∼3차례 걸쳐 최대 10%씩 / ‘희망수량경쟁입찰’ 실시 뒤 / 유찰·남은 물량 ‘블록세일’

세계일보

정부가 보유 중인 우리금융지주 잔여지분을 2022년까지 모두 매각하기로 했다. 1998년 외환위기 이후 공적자금이 투입됐던 우리금융은 이로써 24년 만에 완전 민영화할 전망이다.

25일 금융위원회는 전날 공적자금관리위원회가 이 같은 내용의 우리금융 잔여지분 매각방안을 예금보험공사로부터 보고받고 의결했다고 밝혔다.

로드맵에 따라 정부는 예보를 통해 보유하고 있는 우리금융지주 잔여지분 18.3%를 2022년까지 모두 매각하게 된다.

세계일보

우선 올해에는 우리금융 자체 물량을 소화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예보 지분 매각은 내년 상반기부터 시작된다. 지난 21일 우리금융 이사회가 우리카드의 자회사 편입을 의결하면서 우리은행이 보유할 우리금융 지분 약 6.2%(약 6000억원)를 향후 취득일로부터 6개월내 팔아야 한다.

예보는 내년부터 2∼3차례에 걸쳐 최대 10%씩 분산매각을 실시한다는 계획이다.

매회 기존 과점주주나 신규 투자자를 대상으로 ‘희망수량경쟁입찰’을 먼저 실시하되, 유찰되거나 남은 물량은 5% 내에서 일괄 매매방식인 ‘블록세일’로 처리할 예정이다. 희망수량경쟁입찰은 예정가격을 상회하는 입찰자 중 가격순으로 희망하는 가격과 물량대로 여러 명에게 낙찰시키는 방식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많은 물량을 한꺼번에 팔 경우 주가가 내려갈 수 있는 점을 고려해 쪼개서 파는 것”이라며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 등도 고려한 결정”이라고 말했다. 희망수량경쟁입찰은 4개월 정도, 잔여물량 블록세일이 2개월 정도 소요된다는 점을 감안해 지분 매각은 1년 주기로, 직전 매각일로부터 6∼18개월 사이에 실시할 계획이다.

금융위는 주가가 1만3800원 수준이면 그간 투입한 공적자금을 모두 회수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주가가 일정 범위 내에서 움직이면 일정대로 매각을 진행하고, 금융위기 등으로 시장 상황이 급변할 경우에는 다시 논의한다는 방침이다.

앞서 정부는 1998년 외환위기 이후 금융회사 구조조정 과정에서 우리은행의 전신인 한빛은행 등 5개 금융기관에 공적자금을 투입했다. 이후 우리금융에 투입된 공적자금 12조8000억원의 87.3%인 11조1000억원을 지분매각 등을 통해 회수했다.

2016년 11월에는 과점주주에 지분을 매각해 우리금융의 민영화 기반을 마련했다. 하지만 상당한 지분을 과점주주에게 매각했음에도 우리금융의 최대주주로 남아있어 불확실성과 민영화 지연 우려가 제기되기도 했다.

금융위 관계자는 “이미 민영화의 성과는 상당 부분 달성했다고 볼 수 있지만 예보 지분이 남아있어 여전히 공적자금 투입 회사라는 한계가 있었던 점도 사실”이라며 “이번에 잔여지분 매각이 끝나면 민영화를 완전히 마무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백소용 기자 swinia@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