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포항 지진 복구공사 '부실 논란' 증폭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더팩트

포항시 북구청이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박완수 자유한국당 의원의 요청으로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포항 영일만대로 등 4건의 지진복구 공사에서 특정 공법 선정부터 시공, 관리감독에 이르기까지 총체적 부실이 의심되는 정황이 드러나 논란을 빚고 있다. 사진은 2017년 11월 경북 포항시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인해 포항시 홍해읍의 한 아파트의 외벽이 떨어져 나간 모습. /더팩트DB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특정업체 밀어주기·부실 시공 의혹 제기…포항 북구청 "사실 아니다"

[더팩트 | 이한림 기자] 포항 지진피해 복구공사가 특정업체 밀어주기, 관리감독 소홀 등 부실이 의심된다는 의혹이 제기된 가운데 복구공사를 관리한 포항 북구청이 사실과 다르다며 해명에 나서 진실공방이 펼쳐지고 있다.

포항시 북구청이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박완수 자유한국당 의원의 요청으로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포항 영일만대로 등 4건의 지진복구 공사에서 특정 공법 선정과 시공 상의 문제, 관리감독 소홀 등 공사 부실이 의심되는 정황이 드러났다. 지반 개량공사의 공법 선정 단계에서 특정 방재신기술이 지지됐고 이 기술을 공동 보유한 A와 B사가 하도급 공사를 나눠가졌다는 의혹이다.

시공 자체가 부실했다는 의혹도 있다. 주입 기록지의 자료를 허위로 작성하거나 주입량을 속인 정황들이 포착됐다는 이유에서다. 해당 시방서에는 ‘주입장비는 반발압, 주입량, 주입시간, 주입심도 등이 자동으로 실시간 기록될 수 있는 장비를 써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해당 공사의 주입 기록지를 보면 자료를 허위작성했거나 주입량을 속였다고 의심할 만한 데이터가 곳곳에서 발견됐다.

반면 공사를 관리 감독한 포항 북구청은 사실과 다르다는 입장이다. 포항 북구청 관계자는 "지진복구공사에 지반보강공법으로 저유동성압밀 주입공법이 적정하다고 검토됐기 때문에 해당 기술을 공사에 적용한 것"이라며 "기술을 적용하는 단계에서도 사전심의와 기술자문 등 행정절차를 거쳤고, 자연재해대책법 제61조와 시행령 제51조 규정에 따라 자연재해를 저감하기 위한 각종 사업 및 공사에 방재신기술을 우선 활용할 수 있도록 규정돼 있어 문제가 없다"고 밝혔다.

또한 포항 북구청은 부실 시공 의혹에 대해서도 해명했다. 몰탈 주입시 다중분배기를 사용해 1개의 주입관을 채우고 주입관을 해체하는 동안 별도로 연결된 주입관으로 밸브를 조작해 중단되지 않게 주입해 연속적으로 주입지에 기록했다는 설명이다. 시방서에는 '주입장비는 반발압, 주입량, 주입시간, 주입심도 등이 자동으로 실시간 기록될 수 있는 장비를 써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포항시 북구청 관계자는 "여러 업체가 참여해 다른 기술로 여러 공사를 시공했고 공사 관리감독도 계획에 따라 수행했다"며 "발빠른 복구공사를 통해 시민들의 안전 우려를 해소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한편 포항 지진피해 복구공사는 지난 2016년 9월과 12월 경주에서 규모 5.8, 2017년 11월 포항에서 규모 5.4의 지진이 연이어 발생한데 따른 지진피해 복구 및 내진보강 대책의 일환으로 집행됐다.

2kuns@tf.co.kr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