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2018년 맞벌이 가구 고용현황 조사
작년 하반기 맞벌이 가구, 전년比 4.0% 증가
취업시간 짧은 비정규직·영세자영업 맞벌이 비중 늘어
통계청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세종=이데일리 이진철 기자] 서울 양천구에 사는 정모(43) 씨 부부는 7년차 맞벌이 부부다. 정씨의 아내는 둘째 아이를 출산한 이후 다니던 직장을 그만뒀지만 아이가 어린이집에 갈 정도로 큰 뒤 곧바로 일을 시작했다. 정씨는 아파트 대출금 상환과 함께 두 자녀를 키우고 생활비를 충당하려면 맞벌이는 당연한 선택이라고 했다.
가장 혼자 벌어서는 가계살림을 꾸리기에 어려운 세상이 되면서 ‘맞벌이’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됐다.
하지만 고용상황이 좋지 않은데다 일과 가정을 양립해야 하는 한계 때문에 맞벌이 가구의 일자리는 외벌이보다 취업시간이 짧은 비정규 단순 노무직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최저임금 인상으로 인건비 부담이 늘어난 음식점 등 영세자영업의 맞벌이 비중도 늘었다.
25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8년 하반기 지역별 고용조사(부가항목)-맞벌이 가구 및 1인 가구 고용 현황’에 따르면 작년 10월 기준 맞벌이 가구는 567만5000가구로 전년대비 21만9000가구(4.0%) 증가했다. 배우자가 있는 가구(1224만5000가구) 중 맞벌이 가구의 비중은 46.3%로 전년대비 1.7%포인트 늘었다.
18세 미만 자녀가 있는 배우자가 있는 가구는 440만7000가구로 전년대비 13만 가구 감소했다. 이중 맞벌이 가구 비중은 51.0%로 전년대비 2.4%포인트 상승했다.
자녀의 모든 연령대에서 맞벌이 가구 비중은 상승했으며, 7~12세 자녀가 있는 맞벌이 가구 비중의 상승폭이 2.9%포인트로 가장 크게 나타났다. 자녀가 초등학교 재학인 경우 맞벌이 비중은 54.0%, 중학교 재학은 60.3%, 고등이상 재학 60.8%이며, 미취학은 44.5%로 조사됐다.
가구주의 직업별 맞벌이 가구 비중. 통계청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산업별 맞벌이 가구 비중은 농림어업(83.4%), 도소매·숙박음식점업(62.7%),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56.8%)에서 높게 나타났다. 통계청은 “자영업 비중이 높은 농림어업과 도소매·숙박음식업 등 영세자영업에서 맞벌이 가구 비중이 높았다”고 설명했다.
직업별로는 관리자(4.9%포인트), 사무종사자(3.9%포인트), 판매종사자(2.8%포인트), 단순노무 종사자(1.9%포인트) 등 모든 직업에서 맞벌이 가구 비중이 전년에 비해 상승했다. 가구주와 배우자 모두 상용근로자인 가구 비중은 48.6%, 가구주와 배우자 모두 비임금근로자인 비중은 11.8%로 나타났다.
맞벌이 가구의 일하는 근로시간은 외벌이보다 적었다. 맞벌이 부부의 주당 평균 취업시간은 남자는 44.8시간으로 전년대비 1.5시간 감소했고, 여자는 39.0시간으로 전년대비 1.3시간 줄었다. 18세 미만 자녀가 있는 맞벌이 가구의 주당 평균 취업시간은 41.3시간으로 비맞벌이 가구 45.1시간보다 3.8시간 적게 나타났다.
자녀가 초등학교 재학인 맞벌이 가구의 25~49세 어머니의 평균 취업시간은 38.2시간, 중학교 재학인 경우는 39.6시간이었다. 자녀 학력이 높을수록 취업시간은 증가한 반면 자녀 연령이 어릴수록 맞벌이 가구의 취업시간은 적게 나타났다.
통계청 제공 |
18세 미만 자녀가 있는 가구의 자녀수별 맞벌이 비중은 1명(51.3%), 2명(51.3%), 3명 이상(47.9%)으로 나타나 자녀가 많으면 맞벌이에 제약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시·도별 맞벌이 가구 비중은 제주특별자치도가 61.5%로 가장 높았고, 전남(57.5%), 충남(55.5%) 순이었다. 반면 울산(38.1%), 부산(39.8%), 서울(40.4%)은 낮았다. 이는 농림어업과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등 비중이 높은 지역의 맞벌이 가구 비중이 높기 때문이라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한편 나홀로 사는 취업자인 1인 가구는 353만7000가구로 전년대비 10만6000가구(3.1%) 증가했다. 성별로는 남자가 204만1000가구(55.7%)로 여자에 비해 15.4%포인트 높게 나타났다.
나홀로 가구 임금근로자(279만3000가구)의 임금 수준별 비중은 △100만원 미만 11.3% △100만~200만원 24.6% △200만~300만원 35.7% △300만~400만원 17.1% △400만원 이상 11.3%로 나타났다. 임금이 100만~200만원의 비중은 전년대비 4.6%포인트 하락했으나, 200만~300만원, 400만원 이상 비중은 전년대비 각각 2.4%포인트, 1.2%포인트 상승했다.
산업별로 임금수준별 임금근로자인 1인 가구 비중. 통계청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