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靑 “북한 목선 사건, 사전 인지… 은폐·축소 아니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쿠키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청와대가 북한 목선의 삼척항 입항 사건에 과 관련해 군 당국의 브리핑 당시 사전에 내용을 인지하고 있었다고 밝혔다.

21일 윤도한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이날 브리핑에서 '17일 첫 브리핑 당시 군 당국이 국가안보실과 상의했고, 안보실이 브리핑 방향을 군에 얘기했다는 의혹이 있다'는 질문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

윤 수석은 '기본적으로 모든 국가 안보상황에 대해 청와대와 국방부가 협의한다. 국방부가 어떻게 브리핑할지 안보실도 대략은 알고 있었다'면서 '(브리핑을) 이렇게 하라 말라 등의 간섭은 하지 않는다. 전체 상황에 대해서만 안보실이 판단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윤 수석은 '17일 군 당국에서는 자신들이 계획된 작전활동을 했고 이와 관련한 잘못은 없다고 발표했다'면서 '작전 상황에서 졸거나 하는 일이 없었다는 점에서 발표 내용 자체는 맞을 수 있지만, 안이하고 국민 눈높이에 맞지 않게 발표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군이 아무 잘못을 하지 않았다는 변명 같은 뉘앙스의 자료를 내 비판의 대상이 된 것이며, 사실관계를 틀리게 밝힌 것은 아니다"라며 "은폐,축소,조작 이런 일은 없었다'고 설명했다.

군 당국의 '삼척한 인근'이라는 표현에 대해서도 반박했다. 윤 수석은 '부두 끝 연결 부분에 배가 위치해 있어 이걸 삼척항이라고 할지, 인근이라고 할지는 각각 판단이 다를 수 있다. 통상적인 군 용어로 표현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북한에서 배가 넘어오는 경우 대응 매뉴얼이 있다. 최대한 개인 신상을 보호하도록 돼 있다'라면서 '그래서 세세한 내용을 일일이 밝히지 않는다. 그런데 이를 두고 마치 은폐,축소를 한 것처럼 지적하는 보도들이 잇따랐다'고 말했다.

윤 수석은 목선이 넘어왔을 때 정부의 발표 전에 언론에 먼저 보도된 것을 두고 '그런 보도가 나가면 안된다. 만일 선원들이 다 귀순 의사를 갖고 넘어왔다면 그게 보도됨으로 인해 남북관계가 경색된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럴 경우 북에서 당장 돌려보내라고 요구할 텐데, 귀순의사를 가진 분들을 돌려보낼 수는 없지 않은가'라면서 '그래서 어선이 남쪽으로 오면 합동신문 조사가 끝날 때까지 발표하지 않는데, 이번에는 사고가 생긴 것'이라고 덧붙였다.

4명의 북한 주민 중 두 명이 다시 돌아간 것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윤 수석은 '통일부에서 절차에 따라 그분들의 의사를 확인했고, 두 분 다 돌아가겠다고 해서 돌려보낸 것'이라면서 '나머지 두 분은 이후 절차에 따라 조사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절차상) 틀리거나 한 것은 없다'고 덧붙였다.

조현우 기자 akgn@kukinews.com

쿠키뉴스 조현우 akgn@kukinews.com
저작권자 © 쿠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