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서울 온 ‘PK 삼총사’, 신공항 재검토 총리실로 끌어 올렸다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동남권 신공항 문제가 총리실에서 논의된다. 오거돈 부산시장과 송철호 울산시장, 김경수 경남지사는 20일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을 국토부 서울 용산사무소에서 만나 동남권 신공항 문제에 대한 판단을 국무총리실에 맡기기로 합의했다. 네 사람은 이날 합의문을 작성했다.

중앙일보

20일 오후 서울 용산구 LS용산타워에서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과 부울경 시도지사들 동남권 신공항 관련해 면담을 하고 있다. [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합의문은 “국토부 장관과부·울·경 3개 단체장은 동남권 관문공항으로서 김해 신공항의 적정성에 대해 총리실에서 논의하기로 하고, 그 검토 결과에 따르기로 한다”는 내용이다. 검토의 시기, 방법 등 세부사항은 총리실 주재로 국토교통부와 부·울·경이 함께 논의해 정하기로 했다.

세 명의 자치단체장은 ‘부ㆍ울ㆍ경 삼총사’라 부를만하다. 김해 신공항의 문제점을 부각해 가덕도 신공항을 관철하기 위해 똘똘 뭉치고 있다. ‘삼총사’는 지난 12일 저녁엔 서울 세브란스병원 장례식장에서 고 이희호 여사 빈소를 함께 찾아 조문하기도 했다.

중앙일보

4월 24일 부산시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부산·울산·경남 동남권 관문공항 검증단 최종보고회'에 참석한 송철호 울산시장, 오거돈 부산시장, 김경수 경남도지사(왼쪽부터)가 국무총리께 드리는 건의문을 발표하고 있다. 송봉근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부ㆍ울ㆍ경 민심이 민주당에 더 차가워지면서 세 사람을 더 뭉치고 있다는 분석도 있다. 여론조사업체 리얼미터가 지난달 22~28일 전국 성인 남녀 1만 7000명을 대상으로 시ㆍ도지사 17명의 직무 수행 지지도를 조사(신뢰 수준 95%, 표본오차 ±3.1%포인트)했더니 PK 삼총사가 하위권으로 나타났다. 송 시장의 지지율은 33.5%로 17위, 김경수 경남지사가 16위(39.9%), 오거돈 부산시장이 13위(42.5%)로 조사됐다. 울산광역시의 경우 현대중공업 물적 분할 등 대형 경제 이슈가 있기는 했지만, 전체적으로 경기 침체를 해결하지 못하는 여당에 대한 PK 민심의 불만이 나타나고 있다는 게 정치권의 분석이다.

동남권 관문공항 이슈는 세 단체장이 ‘반전의 계기’로 삼을만한 이슈인 셈이다. 부산시는 지난 12일부터 오늘 27일까지 김해 신공항에 대한 검증 결과를 설명하는 정책투어를 하고 있다. 부ㆍ울ㆍ경이 함께 검증단을 꾸렸다. 부ㆍ울ㆍ경 동남권 관문공항 검증단과 (사)동남권 관문공항추진위원회가 공동으로 행사를 주최했다. 부산시는 보도자료를 내고 “김해 신공항은 24시간 운행 가능한 국제적 규모의 동남권 관문공항이 될 수 없다”는 검증단장의 입장을 소개하기도 했다.

중앙일보

지난 24일 부산시청에서 열린 동남권 관문공항 검증단 최종보고회에 참석한 오거돈 부산시장, 송철호 울산시장, 김경수 경남지사(왼쪽부터)가 국민의례를 하고 있다. 송봉근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부ㆍ울ㆍ경 검증단은 지난 4월 24일엔 최종보고회(부산시청), 5월 27일엔 국회 대국민보고회를 열었다. 당시에도 오거돈 시장ㆍ김경수 지사가 함께 참석했고, 송 시장 대신 김석진 행정부시장이 나왔다. 이들은 “김해 신공항 건설이 강행되면 심각한 소음피해와 안전사고 우려, 그리고 환경파괴가 불가피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김해 신공항은 지난 2016년 박근혜 정부의 주도로 부ㆍ울ㆍ경을 비롯한 동남권 지자체의 합의해 결정됐다. 그러나 정권이 바뀐 뒤 PK에서 거센 반발이 다시 일기 시작했다. 국토부는 대구ㆍ경북권의 반발과 신공항 건설 자체의 무산 등을 우려하고 있다. 한국당은 이 문제에 공식적인 입장을 내놓고 있지 않다. 그러나,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가 국무총리이던 때에 김해 신공항 결정이 내려진만큼 민주당 자치단체장의 움직임을 바라보는 한국당의 시선은 곱지 않다.

이날 오거돈 부산시장은 “동남권 신공항 문제는 많은 대화를 해왔지만 아직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그러나 800만 국민의 소망이기 때문에 빠른 시간 안에 결론을 내야 한다”고 말했다. 송철호 울산시장은 “동남권 전체 주민, 나아가 국가적으로도 제대로 된 공항이 됐으면 한다”고 했다. 김경수 경남지사는 “그동안 여섯 번 용역을 했고 부적절ㆍ부적합 결정이 났다. 총리실에서 최종 검토하고 논란의 종지부를 찍는 게 국력 소모를 없이 제대로 사업을 추진하는 길”이라고 강조했다.

김승현 기자 shyun@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