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17 (일)

이슈 책에서 세상의 지혜를

다르지만, 다를 것 없는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 이야기’···<에움길> 20일 개봉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에움길>의 한장면. 2017년 세상을 떠난 김군자 할머니(왼쪽)와 영화 나레이션을 맡은 이옥선 할머니. 누미아띠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 11일 서울 광진구 롯데시네마에서 일본군 성노예 피해자 할머니들의 생활을 담은 다큐영화 <에움길> 언론시사회가 열렸다. 영화가 끝난 뒤 이옥선 할머니(92)와 이승현 감독(30), 안신권 ‘나눔의 집’ 소장(58)이 간담회에 참석해 기자들과 만났다. 영화와 관련된 질문과 대답이 오간 뒤 주최측은 간담회를 마무리 짓기 위해 이옥선 할머니에게 끝 인사를 부탁했다. “영화 많이 봐 주세요” 정도의 의례적인 말이 나올 차례였다.

이 할머니는 처음에는 “할 말이 뭐가 있겠냐”며 손사래를 쳤다. 영화를 함께 보고 간담회까지 참석한 터라 체력이 거의 떨어질 시간이었다. 안신권 나눔의 집 소장이 “기자들이 많이 오셨으니 간단하게 인사만 해주시면 된다”고 다시 한번 부탁했다. 잠시 망설이던 이 할머니가 말문을 열었다. “15살이었다. 부산 밖으로는 한번도 나가보지 못한 15살짜리 어린애였다.” 할머니는 길에서 납치돼 위안부로 끌려갔던 1942년 상황부터 이야기를 시작했다. 중간중간 눈물을 훔치며 “세상에 어떤 부모가 그런 곳으로 자식을 보내나. 돈벌어오라고 보내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극장안은 숙연해졌다. 이 할머니는 “우리가 일본에 요구하는 건 공식 사죄와 공식 배상이다. 일본은 우리가 거짓말을 하고 있다고 한다. 그게 왜 거짓인가. 그렇게 당했으니 그렇게 말하는 거다. 꼭 일본에게 사죄 받아야 한다”며 말을 마쳤다.

경향신문

지난 11일 서울 광진구 롯데시네마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 참석한 안신권 나눔의집 소장, 이옥선 할머니, 이승현 감독(왼쪽부터). 누미아띠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오는 20일 개봉하는 영화 <에움길>은 이른바 ‘위안부’로 불리는 일본군 성노예 피해자 할머니들의 생활을 보여준다. 이승현 감독은 2016년 관객 358만명을 동원한 영화 <귀향>에 일본군으로 출연했던 배우다. 저예산 영화인 <귀향>에서 스태프로도 일하면서 할머니들의 이야기를 접했고, 큰 충격을 받았다고 한다. 이 감독은 “나눔의 집에 있는 할머니들 기록영상물을 몇개 봤는데, 할머니들의 20년전 모습이 너무도 사랑스럽고, 정겹고, 활력이 넘쳤다”며 “무거운 역사를 내려놓은 할머니들의 일상, 행복 등을 담으려 영화를 만들었다”고 말했다.

<에움길>에는 할머니들의 20여년전부터 지금까지 모습이 담겼다. 나눔의 집이 보관하고 있던 테이프와 CD 등 영상 자료 1600여점을 모두 보고 영화로 쓸 영상을 골랐다. 여기에 이옥선 할머니가 1인칭 시점의 내레이션을 맡았다. 이옥선 할머니 외에도 ‘노래는 못하지만 부르기 좋아하는’ 박옥선 할머니, ‘항상 분주한’ 강일출 할머니, ‘일본말, 중국말 모두 잘하는’ 배춘희 할머니, ‘누구보다 용감하고 말 잘하는’ 이용수 할머니 등 30여명이 등장한다.

경향신문

영화 <에움길>에 출연한 강일출 할머니. 누미아띠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너무나도 가슴아픈 과거를 갖고 있지만 할머니들의 일상은 별다를 것이 없다. 흥이 나면 노래를 하고 춤을 춘다. 봄나들이를 나가서는 꽃을 보고 소녀처럼 좋아한다. 정치적 상황이 할머니들의 일상을 흔들어 놓기도 하지만, 금세 다시 돌아온다.

이옥선 할머니는 2017년 별세한 김군자 할머니의 이야기도 전한다. 천주교 신자란 공통점을 갖고 있는 두 할머니는 친자매처럼 지냈다. 이 할머니는 “군자가 죽기 전에 나한테 와서 ‘너는 나 죽기 전에 가지 마라. 나 죽은 후에 와라’고 했다. 그렇게 말하고 사흘 뒤에 내 방에 와서 선물이라며 돈 10만원을 줬다”며 “어떻게 먼저 갈 줄 알고 그렇게 말했는지. 먼저 가고 보니까 다 후회된다. 군자가 지금도 보고 싶다”고 말했다.

만듦새를 떠나 기록을 정리한 것만으로도 가치를 부여할 수 있는 영화다. 안신권 나눔의 집 소장은 “영화에 등장하는 30여명 할머니 중 현재 살아계신 분은 4명 뿐”이라며 “투쟁적인 할머니들의 모습보다는 할머니들의 일상을 녹여냈다. 특별하게 살아온 한 여성의 삶으로 봐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홍진수 기자 soo43@kyunghyang.com

최신 뉴스두고 두고 읽는 뉴스인기 무료만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