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이프가드? 미국 내 영업이익 큰 변동 없을 것"
프리미엄 신제품 출시 등으로 '차별화' 전략 주효
"세탁기만 놓고 보면, 올해 매출 두자릿수 성장 가능"
"美中무역전쟁 여파? 美시장으로만 보면 유리해"
사진=이준기 특파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클락스빌(미국 테네시주)=이데일리 이준기 특파원] “월풀이 LG전자를 (미국으로) 불러들였습니다.”
송대현(사진) LG전자 H&A사업본부장(사장)은 29일(현지시간) 최대 연 120만대의 세탁기를 생산할 수 있는 LG전자(066570)의 ‘테네시 공장’ 준공식이 열린 클락스빌 현지에서 진행한 특파원들과 간담회에서 이처럼 밝혔다. LG·삼성 등 수입 세탁기에 대한 불만을 제기해 미국 정부의 ‘세이프가드’(긴급수입제한조치)를 이끌어낸 장본인인 미국의 ‘월풀’은 정면 겨냥한 발언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2월 미국은 한국 등 수입산 세탁기와 태양광 제품에 대한 세이프가드를 발동, 추가 관세 부과를 매기기 시작했다. 세탁기에 대해선 저율관세할당(TQR) 기준을 120만대로 설정하고, 첫해인 작년에는 120만대 이하 물량에 대해 20%, 이를 초과하는 물량에는 50% 관세를 부과했다. 2년 차인 올해에는 각각 18%와 45%, 3년 차인 내년에는 16%와 40%를 때린다.
LG전자로선 이 같은 막대한 관세를 물어선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없는 처지에 내몰렸다. 미국에서 연 300만대의 세탁기를 판매하는 만큼, 저율관세 쿼터 120만대를 제외하면 연 180만대를 현지에서 생산해야 했다. 테네시 공장을 예정보다 6개월이나 앞당겨 작년 12월 본격 가동한 배경이다.
이와 관련, LG전자 북미법인 관계자는 “송 사장의 언급은 이제 월풀 등 로컬 브랜드와 같은 조건에서 ‘제품력’으로 경쟁을 할 수 있게 됐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송 사장은 세이프가드 발동 여파에 대해 “미국 내 영업이익은 큰 변동이 없을 것 같다. 손해를 보고 팔 수는 없는 만큼, 관세를 반영해 가격을 올렸기 때문”이라며 “LG는 ‘프리미엄 제품’을 파는데, 미국 소비자들은 제품이 좋으면 인정해준다”고 강한 자신감을 드러냈다.
실제로 세이프가드 발동 이후인 지난해 3분기 기준 미국 세탁기 시장의 업체별 점유율을 보면, LG전자는 18%로 거의 변화가 없었다. 반면, 월풀은 세이프가드 발효 이전 16%대에서 15%대로 떨어지며 체면을 구겼다는 평가를 받았다.
업계에선 LG전자의 발 빠른 현지 공장 가동과 ‘프리미엄급’ 신제품 출시를 통한 차별화 정책이 효과를 봤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송 사장은 “(LG전자는) 시장의 요구에 제대로 대응하고 있고, 작년보다 (주문) 물량이 줄어들지는 않을 것 같다”며 “작년보다는 더 성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세탁기만 놓고 보면 ‘두자릿수’ (매출) 성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재차 강조했다.
송 사장은 미국 현지 생산 시설 구축의 가장 큰 장점으로 발 빠른 ‘시장 대응’을 꼽았다.
그는 “미국 최대 명절인 추수감사절이나 독립기념일 등 대목일 때 업체 간 경쟁이 치열한데, 앞으로 시장이 요구하는 모델을 일주일 내에 생산을 늘리는 방식 등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된 셈”이라고 했다. 더 나아가 “(2~3개월 치 쌓아놓던) 과거와 달리 재고를 많이 안 가지고 있어도 된다는 점도 긍정적”이라고 했다.
송 사장은 미·중 무역전쟁의 여파에 대해선 “미국 시장으로만 보면 유리하다. 전 세계적으로 봐도 불리한 건 없다”며 “다만, 중국에 우리 공장들이 있는데, 중국에서 생산한 제품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했다. 이와 관련, 업계 관계자는 “만약 대중(對中) 관세 부과가 현실화하면 생산라인을 한국이나 멕시코 등으로 옮기는 플랜B를 고려 중인 것으로 안다”고 부연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