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5 (월)

이슈 무병장수 꿈꾸는 백세시대 건강 관리법

[건강한 가족] 알루미늄 냄비와 토마토 멜라민 식기와 전자레인지는 ‘상극’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조리 도구·용기 안전한 사용법]

긁힌 프라이팬선 중금속 유출

뚝배기엔 세제 스며들 위험 커

사기·유리그릇엔 납 성분 많아

중앙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식품첨가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첨가물이 내분비·신경계 이상 등을 일으킨다는 연구가 계속해서 나오자 이를 피하고자 하는 사람도 늘었다. 식품 유해 물질을 극도로 꺼리는 사람을 가리키는 ‘오소렉시아 너보사(Orthorexia Nervosa)’라는 의학 용어도 생겼다. 하지만 이렇게 깐깐한 사람도 간과하기 쉬운 것이 있다. 바로 식품을 담는 용기, 조리하는 도구에 관한 것이다. 좋은 재료로 정성 들여 만들었더라도 식품이 닿는 도구에 문제가 있으면 원치 않은 화학물질을 섭취할 수 있다.

요리에 쓰는 조리 도구 대부분은 화학물질로 만들어진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첨가물 기준과 오금순 과장은 “각 조리 도구를 용도에 맞게 잘 사용하면 문제가 없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가 있다”고 말했다.

대표적인 것이 알루미늄 냄비다. 열에 잘 견디면서도 가벼워 캠핑 시 요리 도구로 많이 쓰인다. 하지만 이런 알루미늄 냄비는 산성이 강한 음식을 만들 때 사용하면 안 된다. 알루미늄은 산과 만나면 알루미늄 성분이 쉽게 용해돼 흘러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소스를 만들겠다고 토마토를 푹 삶는다거나 절임 요리를 하는 것은 피해야 한다.

흠집 난 구리·청동 소재 불판은 버려라


프라이팬도 조심해서 써야 한다. 시중에 나온 프라이팬은 대부분 ‘테플론’이라고 불리는 불소 코팅 제품이다. 불소가 중금속 성분이 용출되지 않게 보호막 역할을 한다. 하지만 이것도 긁히면 소용없다. 긁힌 틈 사이로 납이나 카드뮴이 흘러나오기 때문이다. 신정규 전주대 한식조리학과 교수는 “프라이팬에 음식을 볶을 때 실리콘이나 나무 재질 주걱을 써서 프라이팬이 긁히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긁히거나 흠집이 난 프라이팬은 과감하게 버린다. 최근에는 테플론 코팅제보다 잘 긁히지 않는 세라믹 코팅제를 쓴 프라이팬도 나오고 있다. 하지만 테플론 코팅제보다 음식이 잘 달라붙는다는 단점이 있다.

직화 구이에 쓰는 구리나 청동으로 만든 불판도 조심해야 한다. 철제 수세미 등으로 문질러 세척하면 흠집이 잘 난다. 흠집 난 사이로 중금속이 흘러나올 수 있다. 또 세척 후 바로 물기를 닦고 건조하는 게 중요하다. 다른 재질보다 빨리 녹이 슬기 때문이다.

찌개류를 요리할 때 많이 쓰는 뚝배기 냄비는 세척 시 주의해야 한다. 신 교수는 “뚝배기는 입자와 입자 사이가 커 세제가 잘 스며든다”며 “푹 익히는 음식을 요리할 때 스며든 세제가 음식물로 다시 혼입될 수 있다”고 말했다. 따라서 뚝배기는 세제가 담긴 설거지통에 담가 불리면 안 된다. 세제를 사용해야 한다면 슬쩍 문지르고 바로 헹궈 내야 한다. 그보다 더 좋은 방법은 식초 물을 이용하는 것이다. 식초를 희석한 물을 넣고 잠깐 끓였다 여러 번 헹궈 내는 방법으로 세척하면 좋다.

식기 밑부분의 제품 사양 스티커 보라


음식을 담는 그릇도 주의해야 한다. 멜라민 소재로 만든 용기가 대표적이다. 신 교수는 “멜라민은 열에 약한 특성이 있다”며 “100도만 넘겨도 페놀 등의 화학 성분이 용출된다”고 말했다. 전자레인지에 잠깐만 돌려도 120도가 넘기 때문에 멜라민 식기를 데울 때 사용해선 안 된다. 뜨거운 국물이나 튀김류를 담는 것도 피해야 한다. 산에도 약해 음식을 장기간 보존하는 데도 좋지 않다. 멜라민 용기는 식당에서 가장 많이 쓰인다. 가볍고 단단하면서도 저렴하기 때문이다. 식당에서 쓰는 흰색 밥공기의 대부분은 멜라민 소재로 만든 것이다. 깨지지 않고 가벼우며 색 표현력도 좋기 때문에 아이들 간식 용기로도 많이 팔린다. 오 과장은 “식기를 살 때 밑부분에 붙여진 제품 사양 스티커를 보면 멜라민 소재인지 확인할 수 있다”고 말했다.

사기그릇은 고온에서도 대부분 안전한 편이다. 유약을 발라 한 번 더 초고온에서 굽기 때문이다. 하지만 흠집이 나거나 균열이 생긴 것은 조심해야 한다. 그 부분을 뚫고 납이나 카드뮴 등의 화학 성분이 용출될 수 있다. 크리스털 유리도 흠집이 났을 때는 버리는 게 좋다. 크리스털 유리가 유독 반짝이는 것은 납 성분이 많이 들었기 때문인데 흠집이 나면 그 사이로 납 성분이 흘러나올 수 있다.

음식 포장지도 주의해야 한다. 비닐 랩의 경우 고온에서는 환경호르몬이 용출될 수 있다. 특히 금방 튀긴 음식은 온도가 높기 때문에 랩으로 바로 덮으면 안 된다. 랩을 씌운 뒤 전자레인지에 데우는 것도 피해야 한다. 알루미늄 포일도 음식물을 포장하는 용도로만 써야 한다. 고온에서 소금 성분과 결합했을 때는 알루미늄 성분이 용출될 수 있다. 신 교수는 “알루미늄 포일을 깔고 양념 불고기 등을 해 먹는 경우가 있는데 알루미늄 성분이 나올 수 있으므로 피해야 한다”고 말했다.

색깔 있는 종이에 감자튀김 놓지 말라


일회용 비닐 사용도 주의한다. 일회용 비닐에 음식물을 넣어 얼려 뒀다가 전자레인지에 바로 해동해 먹는 경우엔 비닐에 든 환경호르몬이 음식물로 바로 녹아들 수 있다. 따뜻한 물로 겉을 녹여 비닐을 분리한 후 내용물만 전자레인지에 데워야 한다. 햄버거나 감자튀김 등을 패스트푸드 쟁반 광고 전단 위에 놓고 먹는 경우도 피해야 한다. 인쇄 잉크와 형광증백제(밝은 흰색을 내는 첨가물)가 기름 성분에 녹아 음식물에 혼입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밖에 양파망에 국물을 우려내거나 플라스틱 바가지로 뜨거운 국물을 퍼 담는 것도 금물이다. 가정에서는 그렇게 하는 일이 거의 없지만 많은 양을 한꺼번에 조리하는 식당에서 아직도 이런 경우가 많다. 환경호르몬이 그대로 음식에 녹아 나오므로 피해야 한다. 또 김치를 담을 때는 고무 대야 대신 스테인리스 재질 대야를 사용해야 한다. 흔히 쓰는 붉은색 큰 고무 대야는 공업용으로 허가받은 것이다. 양념 재료가 든 음식물과 닿았을 때 납 성분 등이 흘러나올 수 있다.

배지영 기자 bae.jiyoung@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