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김용범 "5%룰, 주주권 제약 위한 제도 아냐…개선할 때 됐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공시의무 준수 애로…국민연금은 포트폴리오 공개 부담"

뉴스1

김용범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금융위원회 제공) 2019.5.13/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박응진 기자 = 김용범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20일 "이제 시대의 흐름과 변화를 반영해 5%룰을 합리적으로 개선할 때가 됐다. 5%룰(대량보유 공시제도)은 주주의 주주권 행사를 제약하기 위한 제도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김 부위원장은 이날 오후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기관투자자의 주주활동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 방안 공청회'에 참석해 "주주활동을 활발하게 하는 경우 어쩔 수 없이 '경영권 영향' 목적으로 공시해야 하는 경우가 생기고, 이로 인해 공시의무를 준수하는 데에 애로를 겪는 경우가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이처럼 밝혔다.

지난 1992년 구(舊) 증권거래법을 통해 처음 도입된 5%룰은 지분 5% 이상을 가진 투자자가 지분 변동이 있을 경우 5일 이내에 보유목적과 변동사항을 공시하도록 한 규정이다.

김 부위원장은 이와 관련해 "국민연금은 국내 최대 기관투자자로서 다른 투자자들의 추종 매매 가능성에 노출돼 있으며, 5%룰에 따른 상세한 포트폴리오 공개가 부담스러울 것으로 이해된다"고 언급했다.

이어 "PEF(사모펀드)를 제외한 외국계 기관투자자의 경우에는 내부 투자정책에 따라 경영권 참여 목적의 주식보유가 원칙적으로 금지돼 있는 경우도 많은 것으로 알고 있다. 이런 유형의 기관투자자는 의도치 않은 공시의무 위반을 우려해 적극적인 주주권 행사를 주저할 수 있을 것"이라며 "'경영권에 대한 영향력 행사'로 간주되는 주주활동의 범위가 다소 넓고 그 경계가 모호하다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배당에 대한 주주의 적극적인 의견개진이 회사의 지배권에 영향을 미치는 주주활동인지에 대해 재고할 필요가 있다는 이야기를 자주 듣는다"면서 "안정적인 배당이 장기투자 유인을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도 긍정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기업경영을 위태롭게 할 의도가 없는, 기업과 투자자 모두가 윈윈할 수 있는 온건하고 건설적인 형태의 주주활동은 분명히 장려돼야 한다"며 "금융위는 금융연구원의 연구용역을 통해 해외사례를 면밀히 검토하고 기업과 주주 양측이 모두 납득할 수 있는 제도 개선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부연했다.

김 부위원장은 끝으로 Δ지분 5% 미만 투자자의 적극적인 주주권 행사 방안 Δ기업 경영진 입장에서 기관투자자의 주주권 행사를 적대시·경계하기보다는, 올바른 기업경영을 지원하는 우호세력을 만들기 위한 기회로 삼겠다는 인식전환 Δ주주와 기업 간 신뢰 구축을 위한 의사소통 등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pej86@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