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18일 오전 광주 국립 5·18민주묘지에서 열린 제39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 기념사를 하고 있다. 2019.5.18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문재인 대통령이 제39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에 참석해 “5·18을 부정하고 모욕하는 망언들이 거리낌 없이 큰 목소리로 외쳐지고 있는 현실이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너무 부끄럽다”고 밝혔다. 자유한국당 이종명·김순례·김진태 의원의 ‘5·18 망언’을 비롯해 일부 극우 성향 인사·단체의 5·18 왜곡 행위를 비판한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은 18일 광주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열린 기념식에서 기념사를 통해 “대통령이 내년 5·18 민주화운동 40주년 기념식에 참석하는 것이 좋겠다는 의견들이 많았으나 올해 기념식에 꼭 참석하고 싶었다. 광주 시민께 너무 미안하고, 부끄러웠고, 국민께 호소하고 싶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후 문 대통령은 말을 잇지 못하고 잠시 울먹였다.
문 대통령은 “국민으로서 같은 시대, 같은 아픔을 겪었다면, 민주화의 열망을 함께 품고 살아왔다면 그 누구도 그 사실을 부정할 수 없을 것”이라면서 “5·18을 부정하고 모욕하는 망언들이 거리낌 없이 큰 목소리로 외쳐지고 있는 현실이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너무 부끄럽다”고 말했다.
이어 문 대통령은 “80년 5월 광주가 피 흘리고 죽어갈 때 광주와 함께하지 못한 것에 그 시대를 살았던 시민의 한 사람으로서 미안하다”면서 “그때 공권력이 광주에서 자행한 야만적 폭력과 학살에 대통령으로서 국민을 대표해 다시 한번 깊이 사과드린다”며 고개를 숙였다.
문 대통령은 “1980년 5월 우리는 민주주의를 외치는 광주, 철저히 고립된 광주, 외롭게 죽어가는 광주를 봤다”면서 “전남도청을 사수하던 시민군의 마지막 비명소리와 함께 광주의 5월은 우리에게 깊은 부채의식을 남겼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그때 우리가 어디에 있었든, 5월의 광주를 일찍 알았든 늦게 알았든 광주의 아픔을 함께 겪었다”며 “그 부채의식과 아픔이 1980년대 민주화 운동의 뿌리가 됐고 마침내 1987년 6월 항쟁으로 이어졌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또 “광주가 지키고자 했던 가치는 바로 ‘자유’고 ‘민주주의’였다”면서 “독재자의 후예가 아니라면 5·18을 다르게 볼 수 없을 것”이라고도 강조했다.
오세진 기자 5sjin@seoul.co.kr
▶ 부담없이 즐기는 서울신문 ‘최신만화’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