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미중 무역' 갈등과 협상

관세 이어 첨단기술로… 전선 확대되는 美·中 무역전쟁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트럼프 ‘정보통신 보호’ 국가비상사태 선포… 中 겨냥 / 행정명령 서명… 상무부 후속조치 / 화웨이와 70개 계열사 거래 제한 / 차세대 기술 5G업체 압박 공식화 / 화웨이 “불합리한 규제” 강력 반발 / 中, 위안화 평가 절하 맞불 가능성 / 미국채 매도 등 반격 수단 찾을 듯

세계일보

미국과 중국 간 무역전쟁이 첨단기술 분야로 확대됐다. 미국이 고율 관세에 이어 차세대 이동통신기술(5G) 분야에 대한 중국 기업 압박을 공식화하면서 전쟁이 두 곳의 전선에서 본격화하는 양상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5일(현지시간) 외부위협으로부터 정보통신기술과 서비스를 보호하기 위해 국가비상사태를 선포하고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미 상무부는 후속조치로 중국 통신장비업체인 화웨이(華爲)와 70개 계열사를 거래 제한기업 명단에 올린다고 발표했다.

세라 샌더스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성명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나라의 정보통신기술과 서비스를 보호하겠다는 약속의 하나로 ‘정보통신기술 및 서비스 공급망 확보’ 행정명령에 서명했다”고 밝혔다. 상무부는 150일 안에 시행계획을 수립하게 된다.

미 워싱턴포스트(WP)는 이를 미국 기업이 화웨이 등 일부 외국 공급자와 거래하는 것을 금지하는 조치라고 설명했다. 미국은 그동안 화웨이가 중국 정부의 스파이 행위를 돕는다며 동맹국들에 화웨이 장비 사용 금지를 촉구해 왔다.

세계일보

중국 정부는 “모든 필요한 수단을 동원해 중국 회사의 합법적 권익을 결연히 수호할 것”이라며 강력히 반발했다. 가오펑(高峰) 중국 상무부 대변인은 16일 정례 브리핑에서 “다른 나라가 중국 회사에 일방적인 제재를 부과하는 것을 강하게 반대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루캉(陸慷) 외교부 대변인도 정례브리핑에서 “어떤 국가라도 국가안보를 이유로 다른 나라 기업에 불공평한 행동을 하는 것에 단호하게 반대한다”며 “이런 행동을 택한다면 중국은 당연히 필요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화웨이도 관영 환구시보(環球時報)를 통해 “이번 조치가 미국의 안전을 보장할 수도, 미국을 더욱 강력하게 하지도 못한다”고 반발했다.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人民日報)는 “미국을 따르지 않으면 이랬다저랬다 하는 것이 된다. 미국의 강도 같은 논리”라며 강력 비판했다.

양국 간 전쟁 양상이 거칠어지면서 중국이 관세 이외 수단으로 반격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대미 수입액이 대미 수출액보다 적은 중국으로선 관세 맞대응에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이날 중국이 위안화 ‘평가절하’를 무기로 사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도했다. 미국의 고율 관세에 위안화 약세를 묵인해 중국 수출품의 가격 경쟁력을 강화하는 방식으로 미국의 공세를 무력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지난 13일 역외시장에서 달러 대비 위안화 환율이 장중 6.9위안을 넘어섰다. 위안화 환율이 6.9위안을 돌파해 심리적 마지노선인 7위안으로 바짝 다가선 것은 올해 들어 처음이다.

또 중국이 보유한 미국 국채 매각 방안도 거론된다. 중국은 1조1000억달러의 세계 최대 미 국채 보유국이다. 이를 팔 경우 중국 보유외환 가치도 떨어지기 때문에 ‘양날의 칼’이지만, 미국 총공세가 이어지면 중국도 강력한 반격수단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중국이 올해 3월 매도한 미국 국채가 2년반 만에 최대 규모인 것으로 집계되면서 이 같은 가능성이 현실화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있다. 미국 재무부는 지난 3월 중국이 미국 국채 204억5000만달러(약 24조3170억원)어치를 판 것으로 집계했다. 중국이 한 달 동안 미국 국채를 매각한 규모로는 2016년 10월 이후 최대다.

베이징·워싱턴=이우승·정재영 특파원 wslee@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