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증가폭 20만명 달성하려면 매달 21만2천명씩 늘어야
취업자 증가폭 다시 20만명 하회…고용개선 추세 이어질까 (CG) |
(세종=연합뉴스) 이 율 김경윤 기자 = 지난달 취업자 증가폭이 다시 20만명 아래로 떨어져 숨 고르기를 하면서 앞으로 고용개선 추세가 이어질 수 있을지 주목된다.
문재인 대통령이 올해 정부의 고용증가 목표치를 15만명에서 20만명으로 올릴 것을 기대한다고 밝힌 가운데, 이를 달성하려면 앞으로 취업자가 전년 동기 대비로 매월 21만2천명 늘어야 하는 것으로 추산됐다.
17시간 미만 초단시간 취업자가 급증하고 한국경제의 허리인 30∼40대와 주력산업 취업자 감소세가 장기화하고 있는 점은 우려스러운 대목이다.
고용개선 추세가 이어질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전문가들 간에 전망이 엇갈렸다.
◇ 30∼40대 일자리 역대 최장 감소…제조업·건설업·도소매업 타격
15일 통계청이 발표한 고용동향을 보면 4월 취업자는 작년 같은 달보다 17만1천명 증가해 석 달 만에 20만명 아래로 내려앉았다.
취업자 증가폭이 2월(26만3천명), 3월(25만명)과 달리 10만명대에 그친 것은 핵심계층인 30∼40대와 주력산업인 제조업·건설업·도소매업 취업자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30대 취업자는 1년 전보다 9만명 감소해 19개월 연속 줄었다.
40대 취업자는 18만7천명 줄어 감소폭이 1991년 12월(-25만9천명) 이후 27년여 만에 가장 컸다. 특히 2015년 11월(-1만2천명) 감소세로 돌아선 이후 42개월째 뒷걸음질했다.
산업별로는 도소매업(-7만6천명), 사업시설관리, 사업지원 및 임대서비스업(-5만3천명), 제조업(-5만2천명), 건설업(-3만명) 등 주력산업에서 주로 감소했다.
건설노동자 |
특히 건설업 취업자 감소폭은 2016년 6월(-3만2천명) 이후 가장 확대됐다.
정동욱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제조업과 사업시설, 임대서비스업 일자리가 임시직 위주로 줄어들면서 30∼40대 취업자 감소세가 계속되고 있다"면서 "인구감소를 반영하더라도 고용 사정이 안 좋다"고 설명했다.
실제 40대는 취업자 감소폭(-18만7천명)이 인구 감소폭(-14만9천명)을 웃돌았다. 늘어나는 일자리가 17시간 미만에 집중되는 것도 우려되는 지점이다.
주당 1∼17시간 취업자수 1년 전보다 36만2천명 증가한 178만1천명으로 1982년 7월 통계 작성이 시작된 이후 가장 많았다.
이는 공공일자리 규모가 전년보다 10만명 늘어난 영향이 컸다는 게 통계청의 설명이다.
◇ 취업자 20만명 증가 가능할까…전문가들 "고용 여전히 어려워"
정부는 취업자 증가세가 계속 이어질 것으로 보고 목표치 상향까지 고려하고 있지만, 고용상황을 낙관하기 어렵다는 전문가들의 지적이 나온다.
문 대통령은 지난 9일 취임 2주년을 기념한 KBS 특집 대담에서 "계획상으로는 올해 고용증가를 15만명 정도로 잡았었는데 지금은 20만명 정도로 상향하는 기대를 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지난 2월과 3월 취업자 증가폭이 두 달 연속 25만명을 웃돌자 목표치를 올려잡은 것으로 풀이됐다.
1∼4월 평균 취업자수 증가폭은 17만6천명으로, 20만명 목표치를 맞추려면 남은 기간 월평균 21만2천명씩은 증가해야 한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부정적인 견해를 내비쳤다.
정부가 재정을 풀어 일자리를 떠받치고는 있지만, 투자 위축과 수출 부진 속에 고용상황이 좋지 않다는 이유에서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20만명 달성은 불가능하다"며 "최대 15만명일 것"이라고 말했다.
주 실장은 "건설업이 경기 하강에 직격탄을 맞고 있어 취업자 감소세가 10만∼20만명까지 확대될 것으로 본다"며 "정부가 재정을 고용 유발보다는 공공일자리나 복지 쪽에 투입하는 것도 우려스러운 점"이라고 설명했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는 "재정 일자리 사업이 진행됨에도 취업자수가 10만명대로 떨어진 것은 민간 고용시장이 상당히 어려워졌다는 뜻"이라고 지적했다.
성 교수는 "정부가 단기 일자리를 중심으로 일자리 사업을 하면 20만명 달성은 가능할 것"이라면서도 "일반적으로 국민이 체감하는 고용상황과 차이가 진다"고 말했다.
이근태 LG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도 "2월부터 취업자가 늘어난 것은 통계적 특수성에 기인한 것이지 고용상황이 개선됐다고 보기는 어렵다"며 "향후 취업자 증가폭이 둔화할 것으로 본다"고 내다봤다.
실업률이 4월 기준으로 19년 만에 최고를 기록한 것을 놓고, 통계청은 지방직 공무원시험 접수일정이 4월로 조정된 일시적 요인 때문으로 봤지만 다른 한편에서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성 교수는 "실업률이 역사적인 수준"이라며 "한국은 취업시즌이 따로 있어서 구직행위를 하지 않는 기간이 있기에 실업률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오는 편인데 4.4%가 나왔다면 고용시장 상황이 매우 좋지 않다는 뜻"이라고 말했다.
yulsid@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