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이슈 '미중 무역' 갈등과 협상

미중 관세폭탄 현실화…무협 “中생산거점 기업 부담 커질 것”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무역협회, 美 대중 보복관세 인상 분석

“관세율 인상 우리 수출에 부정적…한중 격차는 활용해야”

제3 생산거점 모색 및 시장 다변화 노력

한국 유턴기업 정책적 지원도 검토해야

이데일리

자료=한국무역협회


[이데일리 김미경 기자] 미국이 중국의 수입품에 대한 관세율을 10%에서 25%로 인상하면서 중국에 생산거점을 둔 국내 수출기업이 적잖은 타격을 입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일각에서는 한중 관세율 격차를 활용해야 한다는 분석이다.

한국무역협회는 10일 미국의 대중 보복관세 인상에 관한 통상이슈브리프 자료를 내고 “이번 조치가 지속될 경우 중국에 생산거점을 두고 미국으로 수출하는 우리 기업과 중국이 원산지인 제품을 한국에서 미국으로 수출하는 우리 기업의 관세부담이 커졌다”고 밝혔다.

앞서 미국 행정부는 이날 오전 0시 기준으로 중국산 수입품에 2000억달러 규모, 5745개에 대한 관세를 25%로 인상한다고 밝힌 바 있다. 대상 품목은 컴퓨터·부품, 휴대전화·통신장비, 가구, 자동차 부품, 의류, 장난감 등 광범위한 소비재로 지난해 9월 10% 관세 부과를 단행한 제품들이다. 이번 관세인상 조치로 미국의 중국 제품 평균 수입관세는 기존 12.4%에서 14.7%로 상승한다.

무역협회는 “이번 조치는 미중간 협상 전개에 따라 변경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중국이 원산지인 상품을 수출하는 기업은 당분간 추이를 지켜보며 선적 시점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이어 “이번 조치가 장기화해 중국 전체 수출이 둔화할 경우 중간재 수출 비중이 높은 한국의 대중 수출에도 부정적인 영향이 있을 것”이라고 봤다.

다만 미국 시장에서 중국 제품과 경쟁하는 우리 기업들은 확대된 관세율 격차를 적절히 활용할 수 있도록 기회를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중국 제품은 미국에서 평균 14.7%의 관세를 부담해야 하는 반면, 한국산은 한미FTA(자유무역협정)을 활용하면 평균 0.4%의 관세를 부담하면 되기 때문이다.

협회는 “미중 무역협상이 극적으로 타결되더라도 양국의 근본적 갈등 관계는 상당기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우리 기업들은 위험부담을 분산하기 위해 제3의 생산거점을 모색하고 시장 다변화 노력을 해야한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미국의 대중 제재로 한미FTA를 활용하는 우리 기업의 대미 가격 경쟁력이 높아짐에 따라 중국에서 한국으로 유턴하는 기업에 대한 정책적 지원도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