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이슈 '미중 무역' 갈등과 협상

美, 中제품 관세 25%로 인상…산업부, 긴급대책회의 개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우리 수출 영향 면밀히 분석해 대응책 마련”

이데일리

△무역협상을 방문한 류허 중국 부총리가 9일(현지시간) 미국 무역대표부(USTR) 청사 앞에서 미국 측 협상단과 인사하고 있다.[사진=AFP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세종=이데일리 김상윤 기자] 미국 정부가 10일 0시1분(한국시간 오후 1시1분)부터 2000억 달러 규모의 중국산 수입제품에 관세를 기존 10%에서 25%로 인상키로 결정했다. 우리 수출에도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커 정부가 부랴부랴 긴급대책회를 개최했다.

산업부는 이날 서울 서린동 한국무역보험공사 대회의실에서 박태성 무역투자실장 주재로 ‘미-중 무역분쟁 대응 실물경제 긴급대책회의’를 열고 수출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방향을 점검했다. 회의에는 코트라, 무역협회, 무역보험 공사 등 수출지원기관, 반도체·디스플레이·철강·석유화학·섬유·기계·자동차·전자기기 등 8개 업종별 단체, 산업연구원·대외경제정책연구원 등 국책연구기관이 참여했다.

이번 대책회의에서는 중국산 수출제품 2000억 달러 규모의 품목에 매기는 관세인상이 우리 수출에 미치는 영향을 집중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산업계는 이번 관세인상 조치가 둔화되는 세계 교역 여건의 불확실성을 더욱 증대시킬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현 상황을 엄중하고 인식하고 민관 합동으로 적극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건의했다.

정부는 민관 합동으로 품목별·시장별 수출모니터링을 대폭 강화하기로 했다. 이어 우리 기업들이 미·중 무역분쟁의 어려움 속에서 틈새시장 개척, 신남방·신북방 등으로 수출다변화를 꾀할 수 있도록 지원키로 했다.

박태성 무역투자실장은 “향후 미·중 무역분쟁 전개 양상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면서 우리 수출에 미치는 영향이 최소화하도록 모든 대응역량을 총동원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정부는 수출체질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소비재 수출 확대 방안’(5월), ‘디지털 무역 촉진 방안’(6월), ‘수출시장 다변화 방안’(7월) 등을 마련해 추진키로 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