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이슈 '미중 무역' 갈등과 협상

"관세폭탄" Vs "보복조치" 미중 무역협상 강대강 대치에 타결 안갯속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트럼프 "물러서지 않을 것"…中 "상응하는 보복" 반격

트럼프 中위협에도 "류허, 협상 '타결' 위해 美 오고 있어"

"9~10일 협상서 어떤 결과든 걱정無…관세 물리면 돼"

관세폭탄 및 강공 예고 부각…우려 속 시장 전망 엇갈려

이데일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8일(현지시간) 플로리다주 파나마시티 비치에서 열린 ‘미국 최우선(America First)’ 선거 유세에 참석한 유권자들에게 연설하고 있다. 그는 오는 10일 2000억달러어치 중국산 수입품 관세율을 10%에서 25%로 인상하겠다는 방침을 재확인했다. (사진=AFP)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데일리 방성훈 기자] 미국과 중국이 무역협상과 관련 최종 담판을 앞두고 ‘강 대 강(强 對 强)’ 대치 상태를 이어가고 있다. 양측 모두 최악의 사태를 맞이하더라도 절대 물러서지 않겠다는 의지를 거듭 표명, 협상 결과에 대해 한 치 앞도 내다보기 힘들게 됐다.

9일(현지시간) 열리는 무역협상 최종 담판이 단시간내에 타결을 보기는 어려울 것이란 우려가 시장 전반에 확산하면서 위기감이 증폭됐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8일(현지시간) 플로리다주 파나마시티 비치에서 열린 ‘미국 최우선(America First)’ 선거 유세에서 “중국이 (먼저) 합의를 깨뜨렸다”고 주장했다. 동시에 오는 10일 2000억달러(약 236조원)어치 중국산 수입품 관세율을 10%에서 25%로 인상하겠다는 방침을 재확인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유권자들에게 “그들(중국)이 합의를 깨뜨렸다. 대가를 치를 것”이라며 “중국이 우리 노동자들을 착취하는 것을 멈출 때까지 물러서지 않겠다. 그들과 사업을 하지 않겠다”고 으름장을 놨다. 강공이 예고하는는 대목이다.

미중 무역협상 타결을 낙관해 오던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5일 돌연 “중국이 재협상을 하려고 한다”면서, 당초 올해 1월1일 적용키로 했던 2000억달러 규모 중국산 수입품 대한 관세율 인상(10%→25%)로 추진하겠다고 선언했다.

미국 무역대표부(USTR)는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인상을 선언하지 3일 만인 이날 “대통령의 지시에 따른 것”이라며 관보 게재를 통해 관세율 인상을 공식화했다. 중국과의 최종 협상과 관계없이 10일부터 관세율을 올리겠다는 뜻을 분명히 한 셈이다.

이에 중국 상무부는 성명을 내고 “미국 측이 이런 관세 조치를 시행한다면 중국은 부득이하게 필요한 반격 조치를 할 것”며 강경대응을 예고했다. 그러자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선거 유세를 통해 “중국이 합의를 깨뜨렸다”며 거듭 관세 인상을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전 트윗에서 밝힌 것처럼 “류허 중국 부총리가 ‘협상을 성사시키기 위해(to make a deal)’ 미국으로 오고 있다”면서 “그들이 오고 나서 내일 무슨 일이 일어나든 걱정할 필요가 없다. 모든 일은 다 잘될 것이다. 협상이 결렬되더라도 (관세 부과를 통해) 1년에 1000억달러를 챙기는 데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협상이 결렬돼도 미국으로서는 아쉬울 게 없다는 주장을 거듭 강조한 것이다.

류 부총리가 이끄는 중국 협상단은 9∼10일 워싱턴DC에서 미국측 대표단과 마지막 담판을 갖는다.

관건은 중국이 미국측 요구를 받아들일 것인지다. 미국은 지식재산권 탈취, 기술이전 강요, 환율 조작 등을 금지토록 중국이 법률을 개정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반면 중국은 법률보다 구속력이 약한 행정규제 등으로 약속을 이행하겠다는 입장이다.

다만 앞서 스티븐 므누신 장관이 협상 결과에 따라 관세 인상 결정을 철회할 수 있다고 언급, 극적 타결에 대한 일말의 기대감은 남아 있는 상태다.

시장 전망은 엇갈리고 있다. 제이미 다이먼 JP모건체이스 최고경영자(CEO)는 블룸버그에 “궁극적으로 양측이 합의에 이를 가능성은 80%”라고 밝혔다. 반면 골드만삭스는 “합의 가능성은 10%에 불과하다”면서 관세율 인상 가능성을 60%로 봤다.

이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