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코스피 '저점매수'했나…지난해 증시 유입된 가계자금 17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결제성 예금에서 주식·저축성예금으로 '머니 무브'

연합뉴스

가계 여윳돈
[연합뉴스TV 제공]



(서울=연합뉴스) 정수연 기자 = 지난해 약세장에서 가계의 여유자금이 주식시장으로 순유입된 것으로 나타났다. 예금금리가 오르며 가계의 저축성예금 잔액도 불어났다.

20일 한국은행의 자금순환 통계를 보면 작년 가계 및 비영리단체(이하 가계)가 예금이나 보험, 주식, 채권으로 굴린 돈(자금운용)의 증가액은 152조4천억원으로 2017년의 174조6천억원보다 소폭 줄었다.

세부적으로 보면 주식(지분증권) 및 투자펀드로 굴린 자금은 17조원 순유입했다. 2017년에 3조9천억원 순유출한 것과 비교하면 가계가 주식에 넣은 돈이 많이 늘어난 셈이다.

지난해 주가가 하락세였던 만큼 저점 매수 심리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코스피는 지난해 1월 말 장중 2,600선까지 치솟았지만 미중 무역분쟁, 경기둔화 우려에 연말께에는 2,000선을 하회하기도 했다.

사상 처음으로 2,500선을 넘어섰던 2017년과는 반대 양상이었다.

주가가 하락세였던 해에는 가계의 주식 자금 운용이 늘고, 상승세였던 해는 그 반대인 셈이다.

한은 관계자는 "저가 매수세 영향에 지난해 가계의 주식 자금 운용이 늘어났다"며 "주가가 오르면 가계는 차익 실현을 위해 기존의 투자자금을 빼내곤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 자료 : 한국은행



예금금리가 오르며 저축성예금 등 가계의 비결제성 예금도 크게 증가했다.

잔액 기준으로 보면 지난해 가계의 비결제성 예금은 전년보다 68조2천130억원 늘어났다. 2017년에 잔액이 69조5천820억원 감소했던 것과 대비된다.

기준금리가 한 차례 오르고, 예대율(예금 대비 대출금 비율) 산정 방식 변화로 은행들이 예금 영업을 강화하자 가계가 저축성예금에 돈을 부은 것으로 보인다.

반대로 결제성 예금 잔액은 1조6천960억원 늘어나는 데 그쳐 1년 전(21조8천460억원)보다 증가 폭이 쪼그라들었다.

수시입출식예금 등 결제성 예금에서 주식이나 비결제성 예금으로 가계의 돈이 이동한 셈이다.

작년 말 가계의 전체 금융자산 잔액은 3천729조6천680억원으로 1년 전보다 62조540억원 늘었다.

주식자금은 순유입했지만 주가가 떨어진 영향으로 지분증권 및 투자펀드 잔액은 671조8천830억원으로 2017년보다 76조9천280억원 줄었다. 잔액 기준 통계에는 주식, 채권 등의 가격변동이 반영된다.

jsy@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