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MK 시황] 서울 아파트 22주 연속 하락…급매물만 소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수도권 일대 주거단지 전경 [사진 = 이미연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 재건축이 지난 3월 마지막 주에 이어 이번 주 0.05% 상승하며 깜짝 반등했다. 서울 재건축 아파트값의 상승 전환은 송파구와 강동구 등 대규모 단지의 영향이 컸다. 송파구는 잠실동 주공5단지의 일부 급매물이 소화되면서 하한가가 올랐지만 거래는 다시 실종됐다. 강동구는 석면 재조사 완료로 철거 공사가 재개되면서 기대감이 반영되며 둔촌주공이 올랐다.

20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이번 주 서울 아파트값은 0.03% 떨어져 22주 연속 하락했다. 재건축 시장은 0.05% 올랐지만 일반 아파트는 0.04% 떨어져 지난주(-0.02%)보다 하락폭이 다소 커졌다. 신도시와 경기·인천은 모두 0.03% 내렸다.

전세시장은 서울이 0.01% 떨어져 전주(-0.03%)보다 낙폭이 줄었다. 봄 이사철 수요가 다소 늘면서 하락폭이 둔화됐다. 신도시와 경기·인천도 약세가 이어지면서 각각 0.05%, 0.04% 하락했다.

◆서울 재건축 0.05% 반짝 상승…추격매수는 잠잠

서울은 ▼강동(-0.37%) ▼강남(-0.06%) ▼도봉(-0.04%) ▼성북(-0.04%) ▼강서(-0.03%) ▼마포(-0.03%) ▼양천(-0.03%) 등이 하락했다.

강동은 둔촌주공 영향으로 재건축 아파트값은 올랐지만 일반 아파트 매매가격이 떨어지면서 하락폭이 확대됐다. 암사동 롯데캐슬퍼스트가 2500만~7500만원 내렸고 강일동 강일리버파크3단지는 2000만원 가량 떨어졌다.

강남은 매수세가 없는 가운데 역삼동 역삼래미안과 대치동 쌍용2차 등이 4000만~5000만원 하락했고 논현동 신동아는 750만~2000만원 떨어졌다. 도봉은 단지규모가 큰 창동 북한산IPARK가 1000만원 내리면서 가격 하락을 키웠다.

매일경제

[자료 = 부동산114]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반면 ▲송파(0.04%)는 잠실동 주공5단지가 1000만~2000만원, 신천동 잠실파크리오가 500만원 가량 오르면서 상승했다.

신도시는 ▼분당(-0.07%) ▼산본(-0.05%) ▼평촌(-0.04%) ▼파주운정(-0.03%) 등이 떨어졌다. 분당은 거래가 없어 호가가 내렸다.

서현동 효자삼환, 야탑동 장미현대, 구미동 무지개대림 등이 500만~6000만원 떨어졌다. 산본과 평촌은 평촌더샵아이파크 등 주변 신규 아파트 입주 영향으로 하락했다. 산본은 금정동 충무2단지주공이 500만원 정도 하락했고 평촌은 호계동 무궁화한양과 무궁화경남, 관양동 한가람한양 등이 500만~1000만원 떨어졌다.

경기·인천은 ▼광명(-0.22%) ▼안성(-0.20%) ▼평택(-0.12%) ▼파주(-0.08%) ▼양주(-0.08%) ▼고양(-0.07%) 등이 하락했다.

광명은 매수세 부진으로 철산동 주공12단지, 소하동 신촌휴먼시아1단지, 하안동 주공2단지 등이 250만~2000만원 떨어졌다. 안성과 평택은 계속된 입주 여파로 하락세가 이어졌다. 안성은 금광면 홍익, 금산동 금산주공 등이 200만~500만원 내렸고 평택은 합정동 참이슬, 안중읍 동환, 팽성읍 우미이노스빌 등이 250만~1000만원 하락했다.

임병철 부동산114 수석연구원은 “지난해 10월 이후 하락세가 이어지는 있는 서울 재건축 시장은 반짝 거래 이후 급매물이 소진되면 거래는 다시 실종되는 모습이 반복되고 있다”며 “앞으로도 국지적으로 급매물 소진에 따른 반짝 상승이 나타날 수는 있겠지만, 정부의 규제로 이렇다 할 반등 모멘텀이 없는데다 일부 거래된 급매물도 바닥권 거래여서 본격적인 가격 반등으로까지 이어지긴 역부족”이라고 진단했다.

◆서울 강서·영등포, 봄 이사철 전세수요 유입으로 상승

서울은 ▼성북(-0.22%) ▼중랑(-0.08%) ▼강동(-0.06%) ▼구로(-0.06%) ▼양천(-0.05%) ▼노원(-0.05%) ▼금천(-0.05%) 등이 하락했다.

성북은 길음뉴타운 중심으로 하락했다. 길음동 길음뉴타운2~5단지 등이 250만~2500만원 떨어졌다. 중랑은 상봉동 건영캐스빌, 면목동 늘푸른동아 등이 500만~1500만원 내렸다.

반면 송파(0.07%)와 강서(0.05%), 영등포(0.03%), 성동(0.03%)은 소폭 상승했다. 송파는 대규모 입주 여파로 전셋값이 떨어졌던 가락동 송파헬리오시티 전세가격이 500만원 올랐다. 강서와 영등포 등은 봄 이사철 전세 수요가 유입되면서 상승했다.

신도시는 ▼일산(-0.18%) ▼동탄(-0.13%) ▼파주운정(-0.08%) ▼평촌(-0.05%) ▼분당(-0.01%) 등이 하락했다.

일산은 일산동 후곡18단지현대, 후곡11단지주공, 백석동 백송3단지우성한신, 주엽동 문촌15단지부영 등이 500만~1000만원 내렸다. 동탄은 계속된 입주 영향으로 하락세가 이어졌다. 반송동 동탄솔빛마을신도브래뉴, 시범다은풍성신미주, 동탄솔빛마을쌍용예가 등이 500만~1500만원 떨어졌다. 파주운정은 야당동 한빛마을2단지휴먼빌레이크팰리스가 500만원 가량 하락했다.

경기·인천은 ▼양주(-0.18%) ▼안성(-0.17%) ▼용인(-0.16%) ▼구리(-0.13%) ▼동두천(-0.12%) ▼시흥(-0.08%) 등이 하락했다.

양주는 지난 3월 입주를 시작한 e편한세상옥정더퍼스트3차 등의 영향으로 주변 아파트가 하락했다. 고읍동 현대, 옥정동 옥정세창 등이 500만~1000만원 하락했다. 안성은 매매시장과 마찬가지로 계속된 입주 여파로 전셋값도 하락했다. 공도읍 임광그대가1단지, 안성베르빌, 금산동 금산주공 등이 250만~500만원 떨어졌다.

반면 ▲김포(0.03%) ▲의정부(0.02%)는 일부 단지에 전세 물건이 부족해 소폭 오르는 모습을 보였다.

임 수석연구원은 “서울 아파트 전세시장은 지난 1~3월에 비해 4월 들어 주간 하락폭이 다소 줄었다”며 “국지적으로 전세 물건이 부족한 지역에서 전셋값이 올랐고 4월과 5월 입주물량이 일시적으로 줄어든 영향”이라고 분석했다.

또한 “지역별 수급 여건에 따라 국지적 상승이 나타날 수는 있지만 6월 들어 다시 아파트 입주물량이 크게 늘어날 예정이어서 전셋값의 하향 안정기조는 이어질 전망”이라고 덧붙였다.

[디지털뉴스국 이미연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