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06 (일)

[칼럼]경제성 굴레에 갇혀버린 식물공장 부활을 꿈꾸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데일리

허정욱 농촌진흥청 스마트팜개발과 연구사


[농촌진흥청 스마트팜개발과 허정욱 연구사] 식물공장은 1957년 덴마크에서 인공광을 이용한 싹채소 대량생산을 기점으로 60년이 넘는 시간동안 발전하고 있다. 미국, 일본을 거쳐 우리나라에도 도입되었다. 농촌진흥청뿐 아니라 지자체, 대학, 산업계에서도 10여년이라는 짧은 시간내에 실용화를 위한 노력을 기울여왔다. 그러나 다른 나라에 비해 단시간 내 식물공장을 도입, 발전한 우리나라가 최근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 최근 5~6년 학계나 산업계가 미국, 일본, 벨기에, 대만 등과 비교해 인공광형 식물공장 발전을 위한 투자와 노력을 얼마나 하고 있는가는 미지수다. 관련 연구나 산업분야 발전이 멈춘 건 아니지만 그 소식을 뉴스나 언론에서 찾아보기 어렵다.

식물농장은 투자대비 경제성이 없다고 너무 빨리 결론을 내려버렸기 때문은 아닐까. 최근 언론의 경제성 평가 논란은 우리나라 환경건강 복지(공생) 산업으로서 식물공장의 역할과 미래 성장산업 발전에 커다란 걸림돌이 되고 있다. 필자가 아는 한 세계 어느 나라도 경제성을 이유로 식물공장 연구나 산업화를 위한 노력을 게을리하지 않는다. 식물공장은 경제성 논란 이전에 전 지구차원적 문제인 이상기상, 미세먼지 등 예측불가의 자연재해와 잔류농약, 토양오염 등의 문제 해결을 위한 대안농업이기 때문이다. 지구를 떠나 우주공간에서 미래 식량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우주농업의 한 축이기도 하다.

후발주자인 중국이 최근 정부나 민간차원에서 적극적으로 식물공장에 대한 집중적인 연구와 투자를 하고 있다. 아랍에미리트(UAE)에서도 정부 주도 아래 제네럴일렉트릭(GE), 미쓰비시화학 등 식물공장 업체와 합작해 식물공장을 수입하고 상용화하고 있다. 특히 일본은 50여 년간 정부 투자와 산학협력의 힘을 기반으로 자국내 상용화는 물론 식물공장 수출국으로 거듭나고 있다.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식물공장은 투자 대비 경제성이 없다는 갑론을박에 대해 재검토를 제의한다. 상용화율 5%에도 미치지 못하는 우리나라와 달리 일본의 인공광 식물공장은 약 180여개소로 적자상태를 벗어나 제2의 전성기를 맞았다. 소비자의 안전 채소에 대한 관심은 물론 원폭사고 지역민을 위한 정부주도 인공광 식물공장 건립도 식물공장의 부정적 인식을 바꾸는데 한 몫 했을 것이다.

일본 정부의 정책적 지원도 식물공장 상용화의 결정적인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다.일본은 식물공장 건립 토지를 농업용지로 인정해 사업자의 세금부담을 줄여 준다. 식물공장을 하나의 농산업으로 인정해 거래처와의 사전 계약에 의해 정부보조 여부가 결정되도록 해 기존 농가와의 마찰을 줄이고 있다. 우리나라는 식물공장이 농업시설이 아니라 동식물관련시설로 분류돼 농업관련 허가나 관련세법을 적용받지 못한다. 식물공장 생산물 또한 기존 농산물과 동일한 친환경, 무농약 인증을 받을 뿐 인공광 식물공장 생산물로서의 고유 인증제도도 없다. 식물공장 건립부터 제도적으로 접근하기 쉽지 않은 상황에서 수요와 공급의 논리에 근거한 식물공장 경제성을 운운하는 격이다.

우리도 식물농장을 기존 농업과 다른 농업의 한 형태로 인정하는 것부터 시작해야 한다. 지금이라도 관리제도와 규정을 만들어 우리 현실에 맞는 식물공장을 체계화하고 산업화하지 않는다면 우리나라가 단시간에 일구어낸 성과는 빛을 보지 못하고 식물공장 기술 수입국으로 전락할 수 있다. 인공광 식물공장의 기본인 자연재해, 환경오염에 대응한 안전 먹거리 생산기능뿐 아니라 식물공장 관련 기술 수출국으로써의 자리매김을 위해 정부 차원의 연구와 노력이 절실하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