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부산시, 도심 흉물 빈집 도시재생 위한 전수 조사 착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빈집재생활성화 사업 추진 사항 [자료제공: 부산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부산시는 도심 내 흉물인 빈집을 해소하고, 이를 활용해 맞춤형 임대주택을 공급하는 내용의 종합대책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20일 밝혔다.

종합대책의 주요 골자로는 ▲빈집 전수조사 통한 실태 파악 및 정비계획 수립 ▲열악한 주거 환경을 정비해 주차장, 쌈지공원 등 공공시설 활용 ▲빈집을 활용 반값 임대주택을 확충 등이 있다.

시는 이달 빈집 전수조사에 착수, 16개 구·군의 빈집 위치, 상태 등에 대해 실태조사를 벌인 후 각 특성에 맞는 정비계획을 수립할 계획이다. 또 '빈집뱅크사업'을 통해 빈집 정보 제공 및 빈집 소유자와 수요자를 연결하고, 오는 29일까지 '빈집재생활성화사업 아이디어 공모'도 진행한다.

빈집 밀집구역에서 소규모 주택정비사업과 연계해 사업을 추진할 경우 각종 건축규제가 완화되고,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주택기금 융자지원도 받을 수 있다.

부산시 관계자는 "지난해 75동에 이어 올해도 폐·공가 정비 사업을 120동 규모로 확대 추진한다"며 "환경·위생 문제, 우범지 등 철거가 필요한 빈집은 철거 후 시민들에게 필요한 공용 주차장, 쌈지공원 등 공공기반시설로 조성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집을 활용한 임대주택 확충에도 나선다. 노후 빈집을 리모델링해 소유자에게는 임대소득을 얻게 하고, 세입자에게는 시세의 반값으로 주택을 공급하는 '햇살둥지사업'을 지난해 28동에서 올해 41동으로 공급량을 놀린다. 빈집 소유자에겐 최대 1800만원까지 리모델링 비용을 지원한다.

아울러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업무협약을 통해 주택공사에서 빈집을 매입하거나 임대아파트를 건립해 주거 취약자에게 제공하는 '빈집비축사업'과 부산문화재단이 빈집을 활용해 청년작가 등에게 임대하는 '반딧불이사업'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디지털뉴스국 조성신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