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최저임금 인상과 갈등

최저임금 결정 체계 개편...기업 지급 능력 제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앵커]

정부가 오늘 최저임금 결정체계 이원화 방안을 확정해 발표했습니다.

애초 최저임금 결정 기준에 포함됐던 기업 지급능력은 개편안에서 빠졌습니다.

최저임금을 정하는 결정위원회의 공익위원 추천권은 정부와 국회가 나눠 갖게 됩니다.

김장하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고용노동부는 우선 최저임금 결정체계를 구간설정위원회와 결정위원회로 이원화하는 큰 틀은 유지했습니다.

최저임금 심의 구간을 결정하는 구간설정위원회의 전문가 위원은 노·사·정이 각각 5명씩 모두 15명을 추천한 뒤 노사가 각각 3명씩 꺼리는 후보 6명을 배제하고 마지막에 남는 9명으로 구성합니다.

구간설정위원회는 연중 통계분석, 현장 모니터링 등을 실시해 객관적이고 합리적으로 심의구간을 설정하게 됩니다.

결정위원회는 노·사·공익 위원 각각 7명씩 모두 21명으로 구성합니다.

노동자·사용자 위원 대립 속에 최저임금 결정에 캐스팅 보트를 쥔 공익위원은 국회가 4명, 정부가 3명을 추천합니다.

[임서정 / 고용노동부 차관 : 현재 국회에 제출되어 있는 법안 15건 중에 10건이 국회 추천권을 부여하고 있는 점 등을 고려하여 정부와 국회가 공익위원을 함께 추천하는 것으로 하였습니다.]

아울러 노동자 측과 사용자 측 위원에는 청년, 여성, 비정규직 노동자, 중소기업, 소상공인 대표를 포함하도록 명문화했습니다.

특히 관심을 모았던 최저임금 결정기준에 기업의 지급 능력을 제외하는 대신 고용에 미치는 영향, 경제 상황 등을 고려하도록 보완했습니다.

최저임금 결정체계 개편안이 국회에서 의결되면 내년 최저임금을 심의하는 올해부터 적용됩니다.

노동계는 최저임금 결정체계 이원화 자체를 반대하고 있고, 경영계도 결정 기준에서 기업 지급 능력을 제외한 데 대해 불만을 나타내고 있어 국회 심의 과정이 순탄치 않을 전망입니다.

YTN 김장하입니다.

▶ 제2차 북미정상회담 관련 생방송 보기

▶ YTN 유튜브 채널 구독하고 백화점 상품권 받자!

[저작권자(c) YTN & YTN PLU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