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저축은행중앙회 논란 중심에 선 ‘지부장단회의’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스웨이

[뉴스웨이 한재희 기자]저축은행중앙회 노조가 사상 첫 파업을 예고한 가운데 임단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배경으로 지부장단회의가 지목돼 주목받고 있다.

20일 저축은행중앙회 노조는 파업과 관련한 성명을 내고 오는 22일 임단협 협상이 최종 결렬될 경우 파업이 불가피하다는 뜻을 밝혔다.

그러면서 중앙회 사측이 임단협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못하는 배경으로 ‘지부장단회의’를 꼽았다.

저축은행은 서울, 경기수도권, 부산 등 지역별로 6개의 지부로 나누어져 있다. 이들 지부를 대표하는 지부장이 있으며 이들 6명과 부지부장을 포함한 14명이 현재 지부장단회의를 구성하고 있다. 지부장단회의의 의장은 저축은행중앙회장이 맡는다.

지부장단회의는 이전의 운영위원회와 같은 자문기구이다. 저축은행 회원사의 고충이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해 이사회에 전달하는 게 주요 역할이다. 저축은행중앙회를 중심으로 내부소통 강화를 위한 기구이기도 하다. 회장후보 선출이나 예산 집행 등에 대한 사항 등을 논의한다. 의사결정은 이사회에서만 할 수 있게 돼 있다.

문제는 지부장단회의가 자문기구의 역할을 넘어 이사회의 의사결정에 개입하는데 있다. 노조에 따르면 ‘지부장단회의 결과는 이사회 의결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한다’는 강제규정이 정관에 명시되면서 지부장단회의의 결과가 이사회에 무조건 받아들여지는 구조가 만들어졌다. 이사회의 고유권한인 경영정책이나 예산통제 등에도 개입할 여지가 있는 셈이다.

지난 1월 치러진 신임 회장 선거 과정에서도 지부장단회의가 문제로 지적받은 바 있다. 당시 한 후보가 후보에서 사퇴하면서 회장추천위원회 후보 면접에서 임금삭감을 요구 받았다고 밝혔다. 해당 회추위원이 지부장단회의에 소속된 인물이란 사실이 알려지면서 지부장단회의가 중앙회 경영에 지나치게 개입하는 것 아니냐는 논란이 불거졌다.

이에 대해 노조 측은 지부장단회의에 소속된 일부 회원사 대표가 과거부터 중앙회 전무이사 자리 및 지부장단회의 의장을 업계 출신이 맡아야 한다고 강요하는 등 중앙회를 길들이려는 것이라고 주장한바 있다.

중앙회 노조 관계자는 “신임 회장이 선출된 이후 최근에도 회장의 임금삭감을 요구하는 등 지부장단회의의 경영 개입이 심각한 수준”이라며 “이런 상황에서 임단협이 제대로 이루어지는 것은 어려운 일”이라고 말했다.

이어 “저축은행중앙회는 회원사에 대한 감시·감독 기능과 같은 조사와 시정을 요구하는 등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며 “공공성이 우선시 돼야 하는 중앙회를 사유화할 수 있는 구조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재희 기자 han324@

저작권자(c)뉴스웨이(www.newsway.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