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김학용 "환경부, 임기 남은 산하기관임원 사표제출 강요 시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청와대 개입 가능성 농후…특검 통해서라도 진실 밝혀야"

뉴스1

20대 후반기 국회 환경노동위원장에 선출된 김학용 자유한국당 의원이 16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본회의에서 당선인사를 하고 있다. 2018.7.16/뉴스1 © News1 안은나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김정률 기자 =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위원장인 김학용 자유한국당 의원은 20일 환경부의 '블랙 리스트' 의혹 확산과 관련, "환경부는 임기가 남아 있는 산하기관 임원의 사표 제출 강요를 시인한 적이 있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이날 입장문을 통해 "환경부 감사관실은 지난해 청와대 특감반원으로 활동했던 김태우 전 수사관의 블랙리스트 의혹이 제기된 직후 환노위원장실을 찾아 대면설명하면서 '사퇴시킬 임원명단을 작성한 내용이 아니라 기 사표를 제출했거나 사표제출을 하지 않고 있는 사유 등'을 기술했다고 설명했다"며 이렇게 말했다.

그는 "환경부가 박근혜 정부에서 임명된 산하기관 임원들을 내보내기 위해 표적감사를 벌였다는 문건이 검찰수사에서 나오는 등 조직적으로 블랙리스트를 작성한 것이 명백해 졌다"며 "하지만 청와대는 '적법한 감독권 행사'와 '체크리스트'일 뿐이었다는 등의 무책임한 발언만 쏟아냈다"고 비판했다.

이어 "이번 사건은 문재인 정부의 도덕성과 직결되는 사안인데 이처럼 무책임한 모습에서 이 정부의 도덕성의 끝은 어디인지 정말 가늠할 수 조차 없을 지경"이라고 덧붙였다.

김 의원은 "문 대통령은 대선 후보시절 '블랙 리스트는 민주주의 근간을 유린한 국가 폭력'이라며 대통령이 된 뒤에는 문화부 블랙리스트 사건에 연루된 관련자 수 십 명을 적폐세력으로 몰아 청산한 바 있다"며 "그랬던 정부가 똑같은 구태를 저질렀다는 것에 국민들은 분노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정부 산하기관의 인사는 청와대와 절대 무관하게 일어날 수 없다. 이번 사안도 청와대가 직간접적으로 개입됐을 가능성이 매우 농후하다"며 "더 나아가 환경부 블랙 리스트는 빙산의 일각일 가능성이 크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검찰은 살아있는 권력에 대해서도 단죄해야 한다"며 "성역 없는 수사를 통해 국민적 의혹을 밝혀주리라 믿지만 혹여 살아있는 권력의 눈치를 보고 머뭇거린다면 특검을 통해서라도 명명백백하게 밝혀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jrkim@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