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수원시민 4000명, 100년 전 울려퍼진 '대한독립만세' 재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수원 3·1운동 최초 발원지 방화수류정 일원서 시작

올해 학술·문화·시민교육 등 5개 분야 27개 사업 추진

뉴스1

지난 1월 1일 수원시 3·1운동 기념탑에서 열린 100주년 기념행사. ©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수원=뉴스1) 권혁민 기자 = 1919년 3월1일, 수원 방화수류정 일원에서 수백 명이 모여 "대한독립 만세!"를 부르짖었다. 수원 3.1운동의 시작을 알리는 외침이었다. 수원지역 3·1운동은 종교인부터 교사, 학생, 소작농, 상인, 노동자, 기생까지 모든 계층이 참여한 만세 운동이었다.

수원 읍내에서 시작된 수원군(현재 수원·화성·오산)의 만세운동은 화성 발안·우정·장안면 만세운동으로 이어졌다. 모든 군민이 하나가 돼 조직적으로 만세운동을 전개했다. 수원지역 3·1운동은 그 어느 항쟁지보다 격렬했고, 3·1운동이 전국으로 확산하는 기폭제 역할을 했다.

3·1절 100주년…수원시 '만세 운동' 재현

100년 전 수원의 만세 운동이 재현된다. 시는 3월1일 화성행궁 광장과 시내 일원에서 3·1운동 100주년 기념문화제를 연다.

기념문화제는 방화수류정과 수원역에서 출발하는 만세 행진으로 시작된다. 수원지역 3·1운동이 시작됐던 방화수류정에서 시민 2300여명(독립군)이 모여 오후 1시20분 '3·1운동 대한독립선언서'를 낭독하고, 만세 삼창을 한 후 화홍문광장을 지나 행궁광장까지 행진한다.

수원역에서는 어린이·청소년 1500여명(평화군)이 집결해 12시30분 '수원소년단 결의문'을 낭독하고, 만세 삼창을 한 뒤 행궁광장까지 행진한다. '독립군'과 '평화군'은 오후 2시 행궁광장에서 합류하게 된다.

뉴스1

눈쌓인 수원 방화수류정. © News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기억하는 백년의 울림, 기약하는 백 년의 미래'를 주제로 하는 3·1운동 100주년 기념문화제는 만세 행진 후 오후 2시부터 행궁광장에서 본 행사가 시작된다.

수원지역 독립운동가 9인을 조명한 주제 공연 '수원, 그날의 함성'가 펼쳐지고, 3·1절 기념식(오후 3시)과 희망횃불 점화 퍼포먼스·독립군가 플래시몹(3·1만세 운동 재현)·만인의 메시지 등의 순서로 평화의 세레머니가 이어진다.

역사적 의의를 찾아서…수원시, 5개 분야 27개 기념사업

시는 3·1운동 및 대한민국임시정부 100주년을 맞아 올 한해 동안 수원지역 독립운동 역사와 독립운동가의 발자취를 재조명하고, 널리 알리는 기념사업을 추진한다.

100주년 기념사업은 Δ시설 조성 Δ학술 전시 Δ문화 행사 Δ시민 교육 Δ홍보 운영 등 5개 분야 27개 사업에 이른다.

기념사업은 지난해 1월 출범한 '수원시 3.1운동·대한민국 임시정부수립 100주년 기념사업 추진위원회'가 중심이 돼 추진한다.

기념사업 추진위원회는 수원지역 항일 독립운동 가치를 재조명하고, 기념하는 상징물을 시민 참여를 바탕으로 건립하기로 하고, 현재 모금 활동을 하고 있다. 개인·단체·기업이 기부에 참여할 수 있고, 기부자는 100주년 기념사업 백서에 이름이 등재된다. 3월 31일까지 모금 운동을 전개할 예정이다.

100주년 기념 학술심포지엄, 여성독립운동 학술대회, 3.1운동 100주년 특별기획전, 기념 사진전, 수원지역 3·1운동 총서 간행 등 학술 전시 사업도 다양하다.

뉴스1

3월28일 행궁광장에서 공연된 ‘수원 그날의 함성’에 출연한 시민·학생들의 독립만세 플래시몹의 한 장면. /뉴스1 DB © News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100주년 기념 창작뮤지컬과 경축 음악회도 준비했다. 4월 12~21일 상연되는 '독립군(獨立群)'은 치열했던 독립운동과 독립운동가들의 삶을 보여주는 창작뮤지컬이다.

4월에는 '4·11 대한민국임시정부수립 100주년 경축음악회-100년의 봄, 평화의 바람이 분다'가 열린다.

아울러 Δ3·1 운동 관련 특강 Δ독립운동 강사 양성·학습 지원 Δ일본군 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인권교육 Δ100주년 기념 청소년 역사토론대회 Δ수원의 독립운동 백일장 Δ100주년 기념 독립운동 역사 골든벨 Δ국외 항일운동 유적지 탐방 등의 시민교육 프로그램도 진행된다.

시는 100년 전 같은 '수원군'에 속해있던 화성시와 3·1운동 100주년 기념사업을 교류하기로 했다.

염태영 수원시장과 서철모 화성시장은 지난 2월 7일 화성시 제암리 3·1운동 순국기념관에서 만나 '3·1운동 100주년 기념사업' 교류·협력을 약속했다. 화성시는 3개 분야 40개 기념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수원의 대표적인 독립운동가로는 이하영(1870~1952) 목사, 필동 임면수 선생(1874~1930), 김세환(1888~1945), 김향화(1897~?), 이선경(1902~1921) 등이 있다.
hm0712@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