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제주 2공항’ 반발 확산…국토부는 “예정대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반대대책위·범도민행동’ 출범, 입지 선정 평가 부실 등 제기

제주 여건으론 더 많은 관광객 수용 한계 지적도…갈등 계속

제주 제2공항 건설사업을 둘러싼 논란과 갈등이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정부는 갈등을 봉합하며 예정대로 추진한다는 입장이지만 제2공항 건설사업에 따른 진통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제주도와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12월28일 포스코컨소시엄이 제2공항 기본계획 수립용역에 착수해 6월 완료될 예정이며, 하반기 고시 등의 절차를 거칠 계획이라고 18일 밝혔다.

국토부는 지난 14~15일 제주를 방문한 자리에서도 “타당성 재조사 연구용역 결과 제2공항 건설방안과 입지선정에 문제가 없다는 결론이 나온 만큼 계획대로 제2공항 건설 계획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기본계획 용역초기부터 반대주민의 목소리를 듣겠다”고도 덧붙였다. 하지만 14일 성산에서 예정된 도민설명회가 반대 측의 반발로 무산되는 등 제2공항 건설에 따른 갈등은 가라앉지 않고 있다.

국토부와 제주도는 2015년 11월 성산읍 일대 약 500만㎡ 부지에 2025년까지 4조8700억원을 들여 연간 2500만명을 수용할 수 있는 제2공항을 건설하는 계획을 발표했다. 제2공항 건설은 한때 제주도민의 숙원사업으로 꼽혔다.

지난해 제주공항 이용객은 2945만명으로, 공항의 수용능력(2600만명)을 넘어섰다. 올해 확장공사가 완료되면 3100만명으로 수용능력이 늘어나지만 2025년 3900만명, 2035년 4500만명으로 증가할 것이라는 공항 이용객 수요예측에는 못 미친다.

고영만 제주도 공항확충지원과 총괄지원팀장은 “제주공항이 포화됐고, 앞으로 늘어날 공항 수요를 분산시키기 위해 제2공항이 필요하다”면서 “공항 이용객은 출발·도착 이용객을 모두 포함한 개념으로, 4500만명이 되면 실제 관광객은 2000만명 수준, 나머지는 도민 이용객으로 보면 된다”고 말했다.

하지만 제2공항 입지선정 발표 이후 성산읍 주민 중심으로 ‘제주제2공항성산읍반대대책위원회’가 구성됐다. 22개 제주시민사회단체가 참여한 ‘제주제2공항반대범도민행동’도 출범했다.

반대 측은 입지선정 평가가 부실하게 이뤄졌다고 주장한다. 공항 입지는 제주지역 31곳을 후보지로 삼고 3단계 평가를 거쳐 선정됐는데 이 과정에서 각종 오류와 누락으로 인해 성산이 최적 후보지가 됐다는 것이다. 항공이용객 수요가 과다예측됐고, 최적 후보지를 고의적으로 탈락시켰다는 의혹도 제기하고 있다. 이러한 의혹들을 해소하기 위해 지난해 ‘입지선정 타당성 재조사’와 재조사 내용을 모니터링하는 검토위원회가 운영됐지만 논란을 해소하지는 못했다.

제2공항에 대한 열기가 식은 또 다른 이유는 제주도의 환경·사회경제적 수용력이 한계에 이르러 더 많은 관광객을 감당할 수 있는지에 대한 물음이 나오면서다.

제주는 수년간 관광객과 인구 증가로 인한 환경훼손, 쓰레기·하수도 처리난, 상수도 공급난, 교통혼잡과 주차난 등을 겪었다. 도민들의 피로감도 커졌다. 이영웅 제주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은 “제주의 환경용량을 봤을 때 또 다른 공항 건설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밝혔다.

박미라 기자 mrpark@kyunghyang.com

최신 뉴스두고 두고 읽는 뉴스인기 무료만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