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세월아 네월아~'희망고문' 현대重 군산조선소 재가동 어느 세월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수주물량 부족, 대우조선 인수 핑계에 이번엔 태양광 추진 논란

군산시, 전라북도 "재가동 담보없이는 태양광 협력할 수 없어"

전북CBS 이균형 기자

노컷뉴스

(사진=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 14일 군산시에는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공문이 접수됐다.

공문에는 군산조선소 내 유휴부지 16만㎡에 15.2MW 규모의 태양광 발전시설 설치에 대한 군산시의 검토를 당부한다는 내용이 담겨져 있었다.

(주)한국동서발전이 현대중공업으로부터 유휴부지를 임대받아 태양광 전기사업을 추진하면서 사업허가를 받기 위해 산자부에 공문을 제출했고, 이에 산업통상자원부가 해당 지자체인 군산시의 의견을 물어온 것.

태양광 발전사업 인, 허가권은 3MW이상은 산업통상자원부가, 그 미만은 관할 지자체장에게 있으며 인, 허가에 앞서 전기위원회의 심의를 거쳐야 한다.

이에 대해 군산시는 군산조선소 재가동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를 들어 '태양광 설치불가'로 입장을 정했고, 전라북도 역시 같은 입장을 표명했다.

여기에 군산시의회는 물론, 전라북도의회 나기학 의원도 반대입장을 표명하고 나섰다.

특히 전라북도는 산업단지내 발전사업은 부지 소유자만 가능하며 토지만 임대해 발전사업을 할 경우 관련법령(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에 저촉된다고 보고 있다.

그러나 이같은 태양광 반대 표명 이면에는 군산조선소 재가동이 '패싱'됐다는 점이 가장 큰 이유로 자리해 있음에 이견이 없다.

실제로 군산경실련은 성명을 통해 "현대중공업이 시민들에게 공장 재가동의 희망을 줘야 하는데도, 자사 이익을 위해 태양광 에너지사업을 하겠다고 해 깊은 유감을 표한다"고 말했다.

이어 "공장 재가동 계획을 발표한 뒤 시민과 함께 태양광 재생에너지 사업을 해도 된다"며 성숙한 기업 윤리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지난 2017년 7월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가 가동 중단에 들어간 이후 군산을 비롯한 전라북도에서는 줄기차게 가동 재개를 요구해왔다.

이에 대해 현대중공업측은 수주물량 부족을 이유로 재가동에 난색을 표명한데 이어 최근들어서는 대우조선 인수에 나서면서 아예 군산조선소 재가동은 안중에도 없는 모양새다.

특히 지난해 11월, 전라북도가 현대중공업측에 가삼현 사장과의 면담을 요청하는 공문을 보냈지만, 이에 대한 가타부타 답변조차 듣지 못했다.

그나마 현대중공업측으로부터 전달돼 온 "군산조선소에 대한 구체적 활용방안을 검토한 뒤 2019년에 서로 협의하자"는 모호한 답변내용에 애써 희망을 걸고 있는 형국이다.

여기에 현대중공업측은 "군산조선소 재가동에는 이견이 없다"는 말을 되풀이하면서도 전라북도가 요구하고 있는, 재가동에 앞선 '사전 몸풀기 차원'의 선박 블럭 배정에 대해서도 수개월째 함구로 일관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전라북도 유희숙 혁신산업국장은 "재가동의 주권은 현대중공업이 쥐고 있기 때문에 어떤 상황에서라도 희망의 불씨를 살리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유 국장은 또 "현대중공업이 군산조선소 재가동에 대한 명확한 입장을 내놓는다면 태양광 전기사업은 적법한 테두리 안에서 충분히 논의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아직까지 언론을 제외한 누구하나 '희망고문'이라는 표현은 안하고 있지만, 군산조선소의 조속한 재가동을 기다리는 사람들과 단체들의 표정에선 "더 이상 희망고문을 멈춰달라"는 속내가 역력하게 읽혀지는 대목이다.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