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중국 '풀뿌리 감시' 강화…경찰관, 말단 당조직 부서기로 임명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CMP "마오시대 이후 사라진 '펑차오' 경험, 시진핑시대에 부활"

(서울=연합뉴스) 정재용 기자 = 중국이 풀뿌리 행정단위에서 감시체제를 강화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18일 베이징(北京)일보를 인용해 베이징시의 경찰관들이 지역 공동체를 감시·감독하는 말단 공산당 조직의 간부직을 잇달아 맡고 있다고 보도했다.

베이징일보에 따르면 베이징시 퉁저우(通州)구에서만 경찰관 239명이 외딴 마을과 도시 공동체 공산당 말단 조직의 부서기에 임명됐다.

오는 7월까지 베이징시의 모든 마을도 도시 공동체에 경찰관을 부서기로 임명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풀뿌리 단위의 행정조직에 경찰관을 임명함으로써 중국 공안은 정보 수집을 더 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동체 관리에 직접 관여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게 중국 당국의 판단으로 보인다.

연합뉴스

중앙정법공작회의 연설하는 시진핑
(베이징 신화=연합뉴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1월 16일 베이징에서 열린 중앙정법공작회의에 참석해 연설하고 있다.



퉁저우구 한 마을의 부서기로 임명된 지중런 경찰관은 베이징일보에 "나는 마을의 부서기로서 대중을 더 잘 이해하고 공안 업무 수행에 더욱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상하이(上海)시도 비슷한 프로그램을 시행 중이다.

아울러 베이징 각 구는 '차오양(朝陽) 군중(群衆)'(차오양구) '시청(西城) 다마'(大마<女+馬)'(시청구)와 같은 자원봉사자 감시조직을 운영하고 있다.

이들 구 단위의 자원봉사 조직은 주민들을 감시하고, 절도·사기·마약 복용에서 테러에 이르기까지 의심되는 범죄 행위에 대해 공안에 신고하는 광범위한 감시·신고 네트워크다.

이들 자원봉사자는 지역 공동체 사정을 잘 아는 노년층으로 이뤄져 있다.

경찰관을 말단 행정조직에 배치하고 주민 감시체제를 가동하는 정책은 풀뿌리 단위까지 당의 장악력을 확장하려는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의 의지와도 부합한다.

또한 이러한 정책은 마오쩌둥 집권 시대의 '펑차오 경험(楓橋經驗)'이라는 정책을 연상케 한다는 지적도 있다.

펑차오 경험은 1950년대 말 수많은 아사자를 낳았던 대약진(大躍進) 운동 당시 저장성 펑차오 주민들이 자체적인 감시와 밀고로 불안을 잠재운 것을 의미한다.

이후 펑차오 경험은 지주나 반(反)혁명가, 반동분자를 색출해 당국에 넘겨주는 주민들의 감시체제를 의미하는 말로도 사용됐다.

SCMP는 마오쩌둥 시대 이후 사라졌던 펑차오 경험이 시진핑 주석의 '신시대'에 사회관리와 안정을 위한 도구로 부활했다고 지적했다.

jjy@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