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5·18 역사 왜곡 다시는 없어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16일 광주서 범시민궐기대회 개최… 5월단체-시민 등 5000여 명 참석

망언의원 퇴출-왜곡처벌법 제정 촉구

동아일보

5·18역사왜곡처벌 광주운동본부가 16일 광주 동구 금남로에서 연 시민궐기대회에 참석한 시민들이 ‘자유한국당 3인 망언 국회의원 퇴출과 5·18역사왜곡방지법 제정’을 촉구하고 있다. 이형주 기자 peneye09@donga.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자유한국당의 ‘5·18 민주화운동 모욕’에 분노한 광주 시민들이 39년 전 항쟁의 거리였던 광주 동구 금남로에 모여 ‘5·18 공청회 망언’을 규탄했다. 5월 단체는 제주 4·3사건, 대구 2·28 학생의거, 부산 부마항쟁 단체와 함께 역사를 왜곡하는 세력에 대응하는 전국운동을 전개하기로 했다.

5·18역사왜곡처벌 광주운동본부는 16일 오후 4시부터 두 시간 동안 옛 전남도청 앞 금남로 거리에서 ‘자유한국당 3인 망언의원 퇴출과 5·18역사왜곡처벌법 제정을 촉구하는 범시민궐기대회’를 열었다.

궐기대회에는 이용섭 광주시장과 광주전남에 지역구를 둔 여야 국회의원을 비롯해 5월 단체, 시민사회단체, 시민 등 5000여 명(주최 측 추산 1만 명)이 참석했다. 5·18민주화운동 당시 발포명령을 거부한 고 안병하 치안감의 아들 호제 씨와 영화 ‘택시운전사’의 실제 인물 김사복 씨의 아들 승필 씨가 궐기대회를 찾아 눈길을 끌었다.

이용섭 시장은 “자유한국당 전신인 신한국당 소속이던 고 김영삼 대통령이 국가 차원에서 5·18을 재평가해 특별법을 제정한 뒤 5월 피해자는 민주유공자로, 가해자는 헌정질서 파괴자로 규정됐다”며 “자유한국당 일부 의원이 지지 세력을 결집하기 위해 5·18을 악용하는 자가당착에 빠졌다”고 말했다. 이 시장은 또 “국회는 여야 4당이 제소한 자유한국당 망언의원 3명을 즉각 제명하고 독일과 프랑스의 홀로코스트 처벌법처럼 5·18역사왜곡처벌법을 제정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김후식 5·18 부상자회장이 시민들을 향해 “5·18 당시 시민군 대변인을 하다 희생된 고 윤상원 열사와 고 문재학 군이 폭도이며 게릴라입니까”라고 하자 시민들은 “아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문재학 군(당시 광주상고 재학)은 1980년 5월 26일 당시 전남도청을 사수하던 중 어머니 김길자 씨가 찾아와 귀가할 것을 종용했지만 “친구들이 있다”며 어머니를 돌려보낸 뒤 다음 날 계엄군이 쏜 총탄에 숨졌다. 현재 국립 5·18민주묘지 1묘역 2-34번에 안장돼 있다.

김 회장은 김길자 씨가 5·18 망언에 두 번 가슴 아파하고 있다고 했다. 그는 “자유한국당은 5월 진실을 마지막으로 규명할 5·18진상조사위원을 즉각 추천하고 그러지 못할 경우 추천권을 포기해야 한다”며 “야당은 자유한국당을 대신해 5·18진상조사위원을 추천하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시민들도 “정치적 목적을 위해 5·18민주화운동을 왜곡한 사람들을 단죄해야 한다”고 한목소리를 냈다.

시민 김종숙 씨(59·여)는 “경상도 산골에서 농사를 짓던 스무 살의 나이에 1980년 5·18을 접했고 광주에서 그날의 현장을 보고 들은 뒤 가슴이 너무 아팠다. 김진태 의원 등의 망언을 듣고 ‘세상에 어떻게 이렇게 뻔뻔할 수 있는지’라는 생각에 분노가 치밀었다. 모두가 연대해 망언 의원들을 엄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시민 정기태 씨(77)도 “일부 정치인이 정치적 목적을 위해 5·18 망언을 하는 것에 화가 나 궐기대회에 참석했다”고 말했다.

궐기대회가 끝난 뒤 5·18역사왜곡방지법 제정을 다짐하는 각 정당 결의, 5월 노래 공연, 망언의원 퇴출 촉구, 자유한국당을 규탄하는 퍼포먼스 등이 이어졌다.

5월단체와 시민사회단체, 정당, 종교계 등의 대표 25명은 최근 5·18 역사왜곡처벌 광주운동본부를 결성하고 5·18 역사왜곡 방지를 위한 서명운동과 전국 범국민대회를 개최하기로 했다. 광주운동본부는 23일 오후 1시 서울 광화문광장이나 국회 앞에서 열리는 궐기대회에 참석할 예정이다.

이형주 기자 peneye09@donga.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