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대구·구미도 ‘노사상생 일자리’ 만들어 낼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반도체 클러스터 유치 등

“입주 기업에 인프라 제공”

구체안 제시하며 기대감

경향신문

이용섭 광주광역시장(가운데)과 이원희 현대자동차 대표이사(오른쪽)가 지난달 31일 ‘광주형 일자리’ 투자 협약식에서 손을 맞잡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대구와 경북 구미가 최근 정부가 추진하는 노사상생형 일자리 창출 모델인 ‘광주형 일자리’ 제2·제3의 대상지로 거론되면서 힘을 모으기로 했다.

10일 경북도에 따르면, 도·구미시는 SK하이닉스가 참여하는 반도체 특화 클러스터를 유치해 ‘구미형(경북형) 일자리’ 모델을 접목하는 데 공을 들이고 있다. 또 휴대폰 제조와 자동차 전장부품, 차량용 배터리 기업도 유치하는 방안을 살펴보고 있다. 임금을 절반으로 낮추는 등 광주 사례를 그대로 적용하기보다는, 풍부한 산업 인프라와 복리후생 지원 등을 통해 이들 업종의 대기업을 끌어들인다는 구상이다.

경북도 관계자는 “구미에는 삼성·LG 전기 및 전자 분야 계열사와 자동차부품 관련 중소기업 300여곳이 몰려 있어 경쟁력이 있다”면서 “입주 기업을 위해 직원 기숙사와 임대 아파트를 지원하고 체육시설 등 복지 인프라도 제공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도는 구미 반도체 클러스터 유치가 무산되더라도 휴대폰 등 제조업을 통한 경기 회복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구미국가산업단지의 중소기업 공장 가동률은 2016년 12월 77.1%에서 지난해 4월 41.4%까지 떨어졌다. 도와 구미시는 인건비와 수익성 등을 놓고 정부·대기업과 지속적으로 접촉할 계획이다.

대구시는 자체 일자리 모델을 제시하지 않고 반도체 클러스터 구미 유치를 통한 일자리 모델 추진에 힘을 보탠다는 방침이다. 대구 역시 제조업 불황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대구형 일자리 모델 구상은 후순위로 잠시 미루겠다는 것이다. 다만 정부는 대구시의 노사 상생을 통한 ‘일자리 지키기’ 모델을 주목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시에 따르면, 217개 협력업체에 1만여명의 노동자가 일하는 달성군의 한 자동자부품기업은 지난해 폭스바겐·크라이슬러 등으로부터 약 1조4000억원의 자동차용 구동 제품을 수주하고도 생산설비 보완에 필요한 자금을 대출받지 못해 위기에 놓였다. 사측이 위기를 겪자, 노조는 “회사가 정상화될 때까지 상여금 등 복리후생을 양보하겠다”면서 사측과 합의했다.

앞서 지난 8일 정태호 청와대 일자리수석은 “올해 상반기에 (광주형 일자리) 1~2곳이 급물살을 탈 수 있겠다는 기대를 갖고 있다”면서 “대구와 구미, 군산 등이 아주 구체적인 계획을 갖고 있는 것 같다”고 밝혔다.

백경열 기자 merci@kyunghyang.com

최신 뉴스두고 두고 읽는 뉴스인기 무료만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