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트럼프 '하노이' 양보 의미… "핵미사일 대신 경제로켓 돼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하노이 공개 트윗, '평화''경제발전' 메시지

베트남처럼 미국과 수교뒤 고속성장 하라

비건, 영변 너머 검증·폐기 받아낼지 관건

중앙일보

지난 6일 미 의회에서 2019년 국정연설을 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AFP=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김정은, 조부 김일성 이어 55년 만 하노이 국빈방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8일(현지시간)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오는 27~28일 2차 정상회담 개최 도시를 베트남 수도 하노이라고 공개했다. 중부 휴양지 다낭을 선호했던 미국으로선 하노이를 원했던 북한에 양보한 셈이다. 장소 보다는 실질적 회담 성과를 노린 포석이란 분석도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하노이 개최를 발표하는 저녁 7시 30분과 50분 연속 두 개의 트윗에도 각각 ‘평화’와 ‘경제 발전’이란 두 가지 메시지를 던졌다. 첫 트윗에는 “내 (스티브 비건) 대표가 매우 생산적인 회담을 마치고 북한을 떠났으며, 김정은과 2차 정상회담 일정을 합의했다. 2월 27~28일 베트남 하노이에서 개최된다. 나는 김 위원장을 만나 평화의 대의를 진전하길 고대한다”라고 적었다.

두 번째 트윗에선 “북한은 김정은의 리더십 아래 경제 대국이 될 것”이라며 “그는 일부 사람들을 놀라게 할지 모르지만 나는 그를 알고, 그의 능력을 전부 이해하고 있기 때문에 놀라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북한은 다른 종류의 로켓, 경제적인 로켓이 될 것”이라고도 했다. 김정은 위원장이 핵과 미사일을 포기하고 로켓처럼 고속 경제 성장을 추진하길 바란다는 뜻을 분명히 밝힌 셈이다.

베트남의 수도 하노이를 2차 정상회담 개최지로 선택한 의미는 앞서 미국과 전쟁을 극복하고 평화와 경제 발전을 이룬 ‘롤모델’이기 때문이다.

베트남은 미국과 1965~75년 전쟁을 했지만, 1986년 도이머이(쇄신) 정책을 채택하고 1995년 미국과 수교한 뒤 연평균 7% 가량의 고속 성장을 이뤄 왔다. 100위권 밖이던 베트남의 국내총생산(GDP)은 지난해 명목 금액 기준 2474억 달러로 세계 47위, 구매력 기준 7286억 달러로 35위다. 한때 적국 미국은 이제 베트남의 최대 수출 대상국이 됐다.

중앙일보

조선중앙통신이 2013년 보도한 북한 김일성 전 주석과 베트남 호찌민 전 주석을 만나는 모습. 이 사진은 평양 경상유치원 호지명(호찌민)반에 걸렸다. [연합뉴스]


김정은 위원장 입장에서도 하노이를 방문하는 건 할아버지 김일성 주석이 1958년, 1964년 방문한 뒤 55년 만으로 의미가 크다.

워싱턴 소식통은 “김일성 주석이 사회주의 혈맹 호찌민 베트남 주석을 만난 장소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만나는 것 자체가 국내적으로 정통성 강화에 도움이 될 뿐 아니라 국제 사회에 ‘정상국가 북한’의 이미지를 보여줄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하노이가 개최 장소가 됨에 따라 김 위원장이 베트남을 국빈 방문해 응우옌 푸 쫑 국가주석과도 정상회담을 할 가능성도 커졌다. 북한 공작원이 2017년 2월 말레이시아 공항에서 베트남 여성을 포섭해 이복형 김정남을 암살한 뒤 악화했던 양국 관계를 공식 회복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무엇보다 하노이 베트남 대사관이 있기 때문에 2차 북ㆍ미 정상회담을 위한 인력ㆍ장비 등의 지원을 받기에도 편리하다.

대니얼 러셀 전 국무부 아태담당 차관보는 워싱턴 포스트에 “북한 사람들은 필요한 지원을 해줄 자국 대사관이 없는 도시나 국가에서 회담하는 걸 극도로 꺼린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의 하노이 내 숙소는 JW메리어트 호텔, 메트로폴 하노이 및 인터콘티넨털 하노이 랜드마크 또는 웨스트 레이크 등이 후보로 거론된다. 2016년 5월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메리어트를 숙소로 사용했다.

미 "개성·금강산 재개, 현 단계 어렵다", 양보 카드 없어
비건 특별대표가 1차 평양 실무협상에선 북한이 원하는 하노이로 개최 장소로 양보한 건 미국이 상응 조치로 제공할 카드가 적기 때문이란 분석도 있다. 종전선언과 연락 사무소 설치가 현재로썬 최대치란 뜻이다. 김 위원장이 원하는 개성공단·금강산관광 재개는 현금이 대량 유입되기 때문에 현 단계에서 어렵다는 입장으로 정리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때문에 북ㆍ미가 하노이 공동성명에 영변을 넘어 우라늄 비밀 농축시설들에 대한 검증·폐기 약속을 명기할 수 있느냐가 관건이란 지적이 나온다.

워싱턴=정효식 특파원 jjpol@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