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트럼프 "27∼28일 베트남서 2차 북·미회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트럼프, 국정연설서 공식발표/“대통령 안 됐으면 北과 전쟁 중”/ 장소는 안 밝혔지만 다낭 유력/ 이달 말 美·中정상회담도 개최/ 비건·김혁철 평양서 실무협상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오는 27∼28일 베트남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2차 북·미 정상회담을 개최할 것이라고 공식 발표했다.

세계일보

“김정은과 관계 좋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5일(현지시간) 워싱턴 연방의회에서 열린 국정연설에서 마이크 펜스 부통령과 낸시 펠로시 하원의장(뒷줄 오른쪽)을 뒤로하고 연설을 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2차 북·미 정상회담을 오는 27∼28일 베트남에서 개최할 것이라고 공식 발표했다. 워싱턴=EPA연합뉴스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은 지난해 6월 12일 싱가포르 센토사 섬에서 첫 북·미 정상회담을 개최한 이래 260일 만에 다시 만나게 된다. 이번 회담은 한반도 평화프로세스의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2차 회담은 한반도 비핵화 및 평화체제, 북·미관계 정상화에 관한 1차 회담의 포괄적 합의에서 나아가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비핵화 로드맵을 ‘톱다운’ 방식으로 도출할지 주목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5일(현지시간) 미 연방의회에서 진행한 국정연설에서 “해야 할 많은 일이 남아 있지만 김정은 위원장과의 관계는 좋다”면서 “김 위원장과 나는 오는 27일과 28일 이틀 동안 베트남에서 다시 만날 것”이라고 밝혔다.

세계일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5일(현지시간) 워싱턴DC 연방의회에서 낸시 펠로시(오른쪽) 하원의장과 마이크 펜스 부통령이 지켜보는 가운데 상하원 합동 신년 국정연설을 하고 있다. 워싱턴 AP=연합뉴스


세계일보

“김정은과 관계 좋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5일(현지시간) 워싱턴 연방의회에서 열린 국정연설에서 마이크 펜스 부통령(왼쪽)과 낸시 펠로시 하원의장을 뒤로하고 연설을 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2차 북·미 정상회담을 오는 27∼28일 베트남에서 개최할 것이라고 공식 발표했다. 워싱턴=UPI연합뉴스


트럼프 대통령은 이어 “대담하고 새로운 외교의 일환으로 우리는 한반도의 평화를 향한 역사적인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면서 “우리의 인질들이 돌아왔고, 핵실험은 중단됐으며, 15개월 동안 미사일 발사가 없었다”고 대북 외교 성과를 자평했다. 그러면서 “만약 내가 대통령으로 선출되지 않았다면 우리는 지금 북한과 큰 전쟁을 하고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당초 언론에 배포된 그의 연설문에는 “아마도 수백만 명의 사망자가 나왔을 것”이라는 대목이 있었으나 트럼프 대통령이 이 부분을 읽지 않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2차 회담 장소를 공개하지는 않았으나 미국 언론에 북한 측과 다낭에서 회담하기로 했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뉴욕타임스(NYT)는 이날 “트럼프 대통령이 2017년 아태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다낭을 처음으로 방문했었다”며 북·미 정상회담도 이곳에서 열릴 것이라는 점을 시사했다.

세계일보

트럼프 대통령은 국정연설에 앞서 주요 방송사 앵커들과 오찬을 함께하며 이달 말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미·중 정상회담을 개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러나 미·중 정상회담을 베트남에서 개최할지 확실하게 언급하지는 않았다. 베트남 다낭에서 북·미 및 미·중 정상회담이 연쇄적으로 열리면 남·북·미·중 4자가 참여하는 종전선언과 평화협정 체결이 논의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청와대는 종전선언을 위해 문재인 대통령이 베트남에 가는 것에 대해 북·미 협상이 어떻게 진행되느냐에 달렸지만 가능성이 높지 않다고 밝혔다.

한편 지난 3일 방한한 스티븐 비건 미국 국무부 대북정책특별대표는 2차 회담 준비를 위한 북한과의 실무협상을 위해 6일 북한을 방문했다. 이날 오전 9시3분쯤 오산 미군기지에서 비행기에 탑승한 비건 특별대표와 일행은 서해 직항로를 통해 이동해 북한 순안국제공항에 오전 10시쯤 도착했다. 비건 특별대표는 평양으로 이동해 북한 측 카운터파트인 김혁철 전 스페인 주재 북한대사와 북·미 정상회담 실무협상을 했다. 2차 회담 주요 의제인 비핵화 실행조치와 이에 대한 미국의 상응조치를 집중 논의한 것으로 보인다.

워싱턴=국기연 특파원, 홍주형 기자 kuk@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 Segye.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