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트럼프·김정은, 베트남서 1박2일로 만난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신년 연설서 북·미 2차 정상회담 일정 발표…개최지 ‘다낭’ 유력

비건, 평양서 김혁철과 실무협상 ‘북 비핵화 - 미 상응조치’ 논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5일(현지시간)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2차 북·미 정상회담을 오는 27~28일 베트남에서 개최한다고 공식 발표했다. 싱가포르 1차 정상회담에 이어 260일 만에 북·미 정상이 다시 마주 앉게 된 것이다. 스티븐 비건 미 국무부 대북정책특별대표는 6일 평양에서 김혁철 국무위원회 대미특별대표와 정상회담의 성패를 다룰 실무협상에 돌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워싱턴 연방의회에서 한 국정연설을 통해 “아직 할 일이 많이 남아 있지만 김정은과의 관계는 좋다”면서 “김 위원장과 오는 27일과 28일 베트남에서 다시 만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대담하고 새로운 외교의 일환으로 우리는 한반도의 평화를 향한 역사적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우리의 인질들은 집에 왔고 핵실험은 중단됐으며 15개월 동안 미사일 발사는 없었다”며 “만약 내가 대통령으로 선출되지 않았다면 우리는 지금 북한과 큰 전쟁을 하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1차 정상회담 합의 사항 이행을 위한 로드맵을 논의하게 될 이번 정상회담은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체제 수립을 위한 중대 분수령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2차 정상회담이 열릴 장소로는 베트남의 수도 하노이와 2017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개최한 휴양도시 다낭이 후보지로 거론되며 다낭이 보다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이날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이 APEC 회의를 개최했던 해안도시 다낭에서 만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CNN은 “북한은 자국 대사관이 있는 하노이를 선호하는 반면 미국은 최근 APEC을 개최한 경험이 있어 이미 검증된 도시인 다낭을 선호하고 있다”며 양측의 입장이 엇갈리고 있다고 보도했다.

비건 특별대표는 6일 평양에서 북한 측 카운터파트인 김혁철 특별대표와 2차 정상회담 실무협상을 시작했다. 지난 3일 방한한 비건 특별대표는 이날 오산 미군기지에서 특별기를 이용해 방북했다.

비건 특별대표의 방북 일정은 공개되지 않았으나 하루 이상 평양에 체류할 것으로 예상된다. 북·미는 실무협상에서 북한의 비핵화 조치와 미국의 상응조치를 집중 논의할 계획이다. 비건 특별대표는 지난달 31일 캘리포니아주 스탠퍼드대학 강연에서 “김 위원장이 미국이 상응조치를 하면 영변을 넘어 전체 플루토늄과 우라늄 농축 시설을 폐기하겠다고 약속했다”면서 “동시적이고 병행적인 상응조치”를 하겠다고 밝혔다.

워싱턴 | 박영환 특파원 yhpark@kyunghyang.com

최신 뉴스두고 두고 읽는 뉴스인기 무료만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