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이슈 최저임금 인상과 갈등

D의 공포1/(르뽀)최저임금 엎친데 미세먼지 덮쳤다…영세 상인 울리는 미세먼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14일 오전 서울 남대문 시장. 미세먼지로 인해 시장을 찾는 관광객과 소비자가 평소 보다 절반 이상 줄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D(Dust)의 공포가 한국을 덮쳤다. D가 덮친 현장을 취재했다.

“매출 반 토막 났지 머.” 14일 오전 서울 남대문 시장에서 만난 김정헌(53) 씨는 “미세먼지가 야속하다”고 했다. 10년 넘게 신발 가게를 운영하는 그는 “가뜩이나 경기가 안 좋아 어려운데 미세먼지까지 하늘을 뒤덮으니 사람이 없어 장사가 안된다”고 하소연했다. 김 씨는 허공에 “이랏샤이마세(어서 오세요)”를 외치며 신발에 쌓인 먼지만 연신 털어냈다.

김 씨의 신발 가게 인근에서 화장품을 판매하는 서 모(32) 씨는 “시장 유동 인구가 절반으로 줄었다”며 “보통 저녁까지도 손님이 다니는데 어젠 미세먼지 여파로 발길이 일찍 끊겼다. 장사가 안되니 다른 가게도 일찍 문을 닫는다”고 했다.

중앙일보

14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 인왕시장의 모습. 미세먼지 여파로 소비자 발길이 뚝 끊겼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같은 시간 서울 서대문구 인왕시장. 미세먼지로 소비자 발길이 줄면서 장사를 늦게 시작하거나 아예 문을 닫는 상점들도 있었다. 인왕시장 인근에서 과일을 파는 한 모(61) 씨는 “동절기라 장사가 안 되는데 미세먼지까지 겹치니 손님이 많이 없다”며 “물가는 오르고 지갑은 안 열리는 상황에서 먼지로 인해 더 악화했다. 하루 5만원 정도 팔았는데 지금은 3만원 정도 팔린다. 장사가 안되니 내 밥에 들어가는 돈이 아까워 밥 먹는 것을 제일 먼저 포기했다”고 말했다.

명절 대목을 앞둔 전통 시장이 텅 비었다. 13일에 이어 수도권 지역에 미세먼지 비상저감 조치가 시행되면서다. 시민들이 외부 활동을 줄이는 데다 관광객마저 실내 쇼핑몰 등으로 몰리면서 시장을 찾는 발길은 뚝 끊겼다.

길거리 음식을 판매하는 노점 상인들도 울상이다. 연일 고농도 미세먼지가 기승을 부리면서 붕어빵이나 떡볶이, 번데기 등 길거리 음식을 파는 상인들도 직격탄을 맞았다.

홍제역 근처에서 붕어빵 노점을 운영하는 홍경애(75)씨는 “사는 게 힘들다. 오늘 장사를 괜히 나왔다”고 했다. 홍 씨는 “미세먼지가 심해 노점 장사가 더 안된다”며 “나부터도 이렇게 미세먼지 많을 땐 노점 음식을 사 먹을 생각이 안 드는데 손님들은 오죽하겠냐”고 했다. 그러면서 “평소에 하루 1만원을 벌었다면 지금은 2000원도 못 번다. 차라리 박스 줍는 게 낫다”며 “박스는 밑천이 안 들지만, 붕어빵은 안 팔리면 반죽을 버려야 한다. 그래도 그날그날 희망을 갖고 나오는데 한나절만 있으면 나도 목이 아프다”고 덧붙였다.

중앙일보

14일 서울 홍제역 인근 노점상들이 미세먼지 여파로 문을 닫은 모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남대문 시장에서 번데기를 파는 한 상인은 “미세먼지가 심해진 어제(13일)부터 관광객도 안 와서 주말 장사를 망쳤다”며 “미세먼지 여파로 평소보다 매출이 30% 이상 줄었다”고 했다. 그는 이어 “오전에 일기예보를 챙겨보는 것이 일상이 됐다”며 “오늘처럼 미세먼지가 심할 땐 장사를 접어야 하나 싶다가도 일을 안 하면 생계가 어려워져 울며 겨자 먹기로 나오는 상황”이라고 했다.

소비자들은 미세먼지가 심한 날엔 시장을 찾아 쇼핑하거나 길거리 음식을 먹기가 꺼려진다는 반응이다. 직장인 최진영(34) 씨는 “조금만 걸어도 눈이 따갑고 숨쉬기가 힘들어 시장을 갈 엄두가 안 난다”며 “뿌연 하늘 밑에서 길거리 음식을 먹고 싶지도 않다. 밖에 있는 시간을 최소화하고 실내에 머무르려고 한다”고 했다.

고농도 미세먼지로 인해 마스크 제품 판매도 껑충 뛰었다. 온라인몰 11번가에선 수도권에 올해 첫 미세먼지 비상저감 조치가 실시된 지난 13일 하루 동안 마스크 거래량이 전주 같은 날보다 760% 증가했다. 미세먼지 예보가 있던 11일부터 마스크 거래액은 평소보다 2배 가까이 늘었다.

11번가 관계자는 “미세먼지의 습격이 일상화되면서 소비자들이 제일 먼저 쉽게 활용할 수 있는 마스크를 대량 구매해 필요할 때 사용한다”며 “지난해엔 필터를 교환해 쓰는 고급형 마스크가 시선을 끌었지만, 고가인 데다 필터를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 때문에 일반 마스크 판매가 꾸준한 상황”이라고 했다.

곽재민ㆍ최연수 기자 jmkwak@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