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이슈 법의 심판대 오른 MB

[비하인드 뉴스] MB, 호송차 창 밖 지지자 향해 '쾅쾅쾅'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앵커]

비하인드뉴스 안지현 기자가 나와 있습니다. 안지현 기자, 첫 번째 키워드 볼까요.


[기자]

첫 키워드는 < 쾅쾅쾅 > 입니다.

[앵커]

이명박 전 대통령의 모습인데 쾅쾅쾅이라는 키워드는 어떤 의미입니까?

[기자]

오늘(11일)자 조선일보에 보면 그 답이 나와 있는데요.

항소심 2차 공판이 열렸던 지난 9일에 있었던 일입니다.

보시면 이 전 대통령은 차 유리창을 쾅쾅쾅 두드렸는데 그 소리가 10m 거리에서도 들릴 정도였다 이렇게 돼 있습니다.

[앵커]

10m 거리에서 들릴 정도면 상당히 세게 두드린 것인데 원래 호송차는 그렇게 두드리면 안 되지 않습니까. 왜 그런 것으로 파악이 됐습니까?

[기자]

일단 그 주변에 지지자들이 있었기 때문인데요.

1차 공판 때와 마찬가지로 2차 공판 때에도 호송차가 지나가는 길목인 서울중앙지법 정문에는 이재호 상임고문을 비롯해서 주호영 의원 등 이 전 대통령 측근 10여 명이 차량을 향해서 손을 흔들고 있었다고 합니다.

그런데 이 자리에서 손을 흔든 사람 중 한 명에게 이 전 대통령이 왜 창문을 두드렸는지 저희가 이유를 물어봤습니다.

그랬더니 이런 답을 했는데요.

이 전 대통령 측 변호인인 강훈 변호사는 이 전 대통령이 자신이 차량 안에 있다는 것을 알리기 위해서 두드린 것이다 이렇게 설명을 했습니다.

[앵커]

나 여기 있다, 나 좀 봐라 이런 의미라는 것이군요.

[기자]

맞습니다. 그래서 호송차는 밖에서 안을 볼 수 없기 때문에 지지자 입장에서는 손을 흔들고 있지만 안에 이 전 대통령이 있을 것이라는 추측만 할 뿐인데 이 전 대통령이 자신이 여기에 있다, 있는 차다라는 것을 알리기 위해서 이렇게 창문을 두드렸고 이번이 처음이 아니라 그동안 계속 그렇게 해 왔다 이렇게 덧붙이기도 했습니다.

[앵커]

그렇군요. 호송차가 이제 밖에서는 안을 볼 수 없는지 몰랐습니다. 그러니까 이제 본인이 있다는 것을 알리기 위해서 반가운 마음에 그렇게 쾅쾅쾅 두드렸다는 것이군요.

[기자]

맞습니다. 또 이 전 대통령은 9일에 이어서 오늘은 3차 공판에 참석을 했습니다.

그런데 오늘 호송차에서 내린 이 전 대통령의 모습을 보면 휘청거린 후 이렇게 고개를 숙인 채 벽을 짚으면서 어렵게 법정으로 향하고 있었는데요.

그런데 이런 모습은 지난 9일 그러니까 2차 공판에도 보시는 것처럼 크게 다르지는 않았습니다.

[앵커]

이것이 오늘 장면이고 지난 9일 때도 이렇게 가면서 약간 휘청거리는 모습, 벽을 짚는 모습이 있었다는 것이군요. 아무래도 수감 생활이 길어지다 보니까 그런 영향이 있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오늘 또 보면 공판에서는 이 전 대통령의 처남댁이 증인으로 나왔다고 하죠.

[기자]

맞습니다. 이 전 대통령의 처남인 고 김재정 씨의 부인인 권영미 씨가 나온 것인데요.

다스의 협력업체인 금강의 최대주주이기 도 한 권 씨는 자신의 남편 김 씨의 차명재산을 관련해서 증인으로 나온 것입니다.

그러니까 차명재산의 실소유주가 이 전 대통령인지를 따지기 위함이었는데 오늘 권 씨는 이 자리에서 남편은 집안일과 바깥 일을 분리해서 자신은 모른다 이렇게 얘기를 했고 또 남편이 죽고 나서는 대통령 말만 믿었다고 말해서 이 전 대통령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듯한 발언을 했고요.

권 씨는 수감된 이후 이 전 대통령의 모습을 오늘 처음 봤다고 하는데요.

그래서 눈물을 훔치기도 했다고 합니다.

[앵커]

그렇군요. 알겠습니다. 다음 키워드로 가볼까요.

[기자]

다음 키워드는 < 이해찬 '할아버지' > 입니다.

[앵커]

민주당 이해찬 대표의 모습인데 이해찬 대표를 할아버지라고 한 것입니까?

[기자]

오늘 이해찬 당대표가 자신이 할아버지임을 강조했기 때문인데요.

오늘 민주당 최고위는 현장에서 열렸습니다.

국회가 아닌 현장에서 열린 것인데 당 지도부가 처음으로 찾아간 현장은 바로 서울의 한 유치원이었습니다.

[앵커]

보통 어떤 이벤트가 있을 때 어떤 일이 있을 때 현장에서 회의를 열기는 하잖아요. 유치원을 찾아간 것은 그만큼 유치원3법의 처리가 미뤄졌기 때문에 그와 관련이 있다 이렇게 볼 수가 있겠군요.

[기자]

맞습니다. 유치원3법 개정안은 현재 국회에서 패스트트랙 안건으로 지정한 상태입니다.

그런데 아시는 것처럼 패스트트랙에도 최소 330일이 걸리는 만큼 민주당은 그 안에라도 여야 합의를 이끌어내겠다 이런 방침입니다.

어제 문 대통령도 빠른 처리를 주문하기도 했는데요.

이 발언은 직접 들어보시죠.

[2019 신년기자회견 (어제) : 사립유치원의 투명성도 강화해야 합니다. 유치원 3법의 조속한 통과를 국회에 요청합니다.]

[앵커]

지금 많은 학부모들 입장에서는 유치원법 개정안 상당히 바라고 있는데 대통령도 이렇게 얘기한 만큼 민주당 입장에서는 유치원 3법을 통과시키는 데 주력하겠군요.

[기자]

맞습니다. 오늘 현장에서도 그런 모습이 엿보였는데요.

또 이 대표의 발언만 보더라도 그런 노력이 조금 느껴졌습니다.

먼저 이 대표는 자신이 유치원에 간 손주를 둔 할아버지이다.

그래서 이 문제에 대해서 잘 알고 있으니 자신이 잘 해결하겠다 이런 취지의 발언을 하면서 현장에 있던 학부모들에게 다 가가고자 노력을 했고요.

이후에도 이 같은 발언을 계속했는데요.

발언 한번 들어보시죠.

[이해찬/더불어민주당 대표 : 몇 살짜리부터 받아요? (다섯 살, 여섯 살, 일곱 살입니다. 만 3세, 4세, 5세…) 내 손자보다 한 살 어리네.]

[앵커]

4살, 5살 정도 되는 손자가 있는 모양이군요. 자신도 할아버지이고 그렇게 잘 아는 만큼 잘 처리하겠다 이런 의미로 들립니다.

[기자]

맞습니다. 또 여기에다가 오늘은 준비된 원고를 중간 중간 확인해 가면서 자신의 발언에도 신경을 쓰는 모습이 보였고요.

또 이 자리에 온 학부모와 유치원 교사들의 이야기를 경청했고 또 유치원생들과도 지도부가 함께 앉아서 이야기를 듣는 자리도 마련했는데 다만 민주당 지도부의 노력과는 상관없이 아이들이 그저 놀기에만 바쁜 모습이었는데요.

이 모습도 한번 보시죠.

[홍영표/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 악수해요, 아저씨하고…몇 살이에요? 이름이 뭐야?]

보시는 것처럼 홍영표 원내대표가 악수를 청하자 마지못해 악수를 해 주기도 했고요.

또 이름을 물어보자 대답 대신 인상을 찡그리는 모습도 보였는데요.

민주당은 다음 현장 최고위 장소는 아직 조율 중이라고 합니다.

[앵커]

아이들 입장에서는 그렇게 관심 있는 사람들이 아닐 수도 있겠죠. 잘 들었습니다.

안지현 기자

JTBC, JTBC Content Hub Co., Ltd.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JTBC Content Hub Co., Ltd.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