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부는 10일 서울 태평로 프레스센터에서 ‘최저임금 결정체계 개편 전문가 토론회’를 열었다. 고용부는 지난 7일 최저임금 결정기준에 고용경제 상황과 기업의 지불능력 등을 추가하고 최저임금위원회를 구간설정위원회와 결정위원회로 이원화하는 내용의 최저임금 결정체계 개편안 초안을 내놨다. 이날 토론은 개편안에 대해 전문가 의견을 듣기 위해 마련됐다.
토론 참석자들은 모두 정부의 개편안을 지지했다. 전윤구 경기대 법학과 교수는 “‘최저임금 1만원 달성’은 모든 대선 후보가 내세운 공약이었지만 결국 (경제성장 등에 따른) 목적이 아니라 대통령 공약 실현의 수단으로 쓰여 사회적 부작용이 나타났다”고 지적했다.
권순원 숙명여대 경영학부 교수는 “신설되는 구간설정위원회 위원 선임을 노사 합의 등으로 꾸릴 경우 지금의 최저임금위원회 구성방식과 다를 게 없어 ‘옥상옥’ 조직으로 전락할 것”이라며 “차라리 구간설정위 위원 선임을 정부가 주도해 자신의 정책 기조를 합법적이고 투명하게 드러내는 편이 낫다”고 제안했다.
노민선 중소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기업에 있어 규제보다 더 무서운 것은 예측불가능성”이라며 “최저임금 산정에 있어서 예측가능성을 높이는 쪽으로 제도 개선이 이뤄져야 한다”고 밝혔다.
류지영 기자 superryu@seoul.co.kr
▶ 부담없이 즐기는 서울신문 ‘최신만화’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