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상공인연합회 신년하례식 직후 기자간담회
정부 추진 중인 최저임금 결정구조 이원화
기존 공익위원 중심 결정구조와 달라야
소상공인 기본법 제정 원년, 초당적 대처 당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최승재(사진) 소상공인연합회 회장은 7일 “정부가 추진 중인 최저임금 결정구조 개편 방안은 기존의 공익위원들의 입김이 크게 작용하는 기존의 최저임금 결정 방식과는 달라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최 회장은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글래드 호텔에서 열린 소상공인연합회 신년하례식 직후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정부가 최저임금위원회를 구간설정위원회와 결정위원회로 이원화하는 방향으로 개편을 추진 중”이라면서 “구간설정위에 참여하는 위원도 결국 노·사 양측의 추천을 받아 구성할 수밖에 없는데 이들이 노·사의 이해관계를 대변하면서 대립 구도가 재연될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최 회장은 “현재의 최저임금위원회는 노·사 위원의 대립 구도 속에서 합의점을 찾지 못하면 캐스팅보트를 쥔 공익위원이 제시한 최저임금을 채택하는 식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았다”면서 “누가 추천되더라도 과거 이력과 성향 등을 둘러싼 논란으로 구간설정위의 구성은 상당한 진통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최 회장은 구간설정위가 잘못 운영되면 오히려 사회적 갈등을 더욱 키울 수 있다고 우려했다. 최 회장은 “전문가들로 구성된 구간설정위의 권한이 단순히 최저임금의 인상 폭을 권고하는 수준에서 벗어나 법적인 구속력을 갖게 될 경우 결정위의 역할은 축소되고 또 다른 갈등을 야기시킬 것”이라면서 “구간설정위원회에서 최저임금 결정 기준을 정할 때 기존의 생계비와 양극화 해소 외에도 기업들의 지불 능력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서민우기자 ingaghi@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