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정부가 최저임금 인상 속도 조절을 위해 최저임금 결정 구조와 기준을 바꾸기로 했습니다.
결정 구조를 이원화하고, 최저임금을 정할 때 경제성장률이나 노동 시장 상황도 반영합니다.
김장하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정부는 최근 2년간 최저임금이 30% 가까이 가파르게 오르면서 경제에 큰 부담을 줬다고 판단하고, 최저임금 속도 조절에 착수했습니다.
우선 전문가로 구성된 구간설정위원회에서 최저임금 인상 폭을 상한·하한 구간으로 정합니다.
이후 노사 대표 외에 비정규직과 소상공인 대표도 참여하는 결정위원회에서 최저임금을 결정하는 겁니다.
[홍남기 /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지난 4일) : 구간 설정위원회는 전문가로만 구성해 상·하한 구간 설정뿐만 아니라, 최저임금이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연중 상시적으로 분석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할 예정입니다.]
현재는 근로자의 생계비 등을 고려해서 결정하는데 앞으로 물가 상승률, 경제 성장률, 노동시장 상황도 반영하겠다는 겁니다.
이렇게 최저임금 결정 구조와 기준을 바꾸는 건 결국, 내년 최저임금 인상 폭을 최소화하겠다는 정부의 의지로 풀이됩니다.
이와 관련해 이재갑 고용노동부 장관은 이번 주에 위원회 위원 수와 추천방식, 결정기준 등에 대한 정부 초안을 밝힙니다.
YTN 김장하입니다.
▶ 24시간 실시간 뉴스 생방송 보기
▶ 네이버 메인에서 YTN을 구독해주세요!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