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美 '셧다운' 현실화…"패닉이 시작됐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연방공무원 80만명 영향권…"무급 업무 또는 강제 휴직"

공무원은 월급 못받고 시민들은 정부 지원 중단으로 불안

SNS 등 통해 셧다운 고충 및 장기화 우려 확산

이데일리

미국 워싱턴DC 연방정부 청사가 지난 22일(현지시간) ‘셧다운’에 따른 폐쇄를 알리고 있다. (사진=AFP)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데일리 방성훈 기자] 26일(현지시간) 크리스마스 연휴가 끝나면서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일시 업무정지)’ 사태에 따른 여파가 나타나고 있다고 CNN 등이 보도했다. 앞서 미국 언론들도 26일부터 본격적인 셧다운 부작용이 나타날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뉴욕타임스와 CNN 등은 210만여명의 전체 공무원들 중 “약 80만명이 셧다운 영향을 받고 있다. 보수를 받지 못한 채 일을 하거나 쉬고 있다”고 전했다. 무상으로 일하고 있는 공무원들은 주로 국방·치안·소방·우편·항공·전기·수도 등 국민의 생명과 재산 보호, 공공안전과 직결되는 ‘필수’ 업무 종사자들이다. 약 42만명이다. 나머지 공무원들은 ‘강제’ 무급휴가 상태다.

상당수 연방정부 업무가 멈추면서 시민들의 불안과 불편도 확산될 전망이다. CNN은 저소득층 영양보충지원 프로그램(SNAP), 여성·유아와 어린이를 위한 영양 공급 프로그램 등에 주목했다. 농무부의 저소득층 지원 식료품 배급 제도인 ‘푸드 스탬프’가 축소될 것이라고 방송은 내다봤다. 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인력이 95% 줄어들 것으로 보여서다.

일반 공공 서비스도 대거 중단됐다. 그랜드캐년, 자유의 여신상 등 유명 관광지는 주정부 예산으로 대체하거나 쓰지 않았던 예산으로 돌려막아 정상 운영되고 있지만, 대부분의 박물관과 국립공원 등은 문을 닫았다. 일할 사람이 없어서다.

뉴욕타임스는 “셧다운 사태가 얼마나 지속될 것인지 알 수 없다. 불확실성이 우려를 키우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임금을 받지 못하는 많은 계약직 연방 근로자들과 실업수당 등 정부 지원을 받아 왔던 많은 국민들이 당장 생활고를 겪고 있다고 설명했다. 미주리주 캔자스시티 교통부에서 행정보조 업무를 하고 있는 줄리 버(49)는 뉴욕타임스에 “공황 상태(panic mode)가 시작됐다”고 말했다.

신문은 또 트위터 등 소셜미디어(SNS)에서는 ‘셧다운스토리(ShutdownStories)’라는 해시태그와 함께 다양한 불안과 불만, 두려움이 토로되고 있다고 전했다. 사실 확인은 어렵지만 한 남성이 집세를 내지 못해 노숙자가 됐다는 내용, 간병인을 고용할 수 없다거나 크리스마스 선물을 살 수 없었다는 등의 사례가 떠돌고 있다는 것이다.

문제는 사태가 좀처럼 해결될 것 같지 않다는 점이다. 공화당과 민주당은 27일 본회의를 열고 협상을 재개할 방침이다. 그러나 민주당은 “장벽 건설 예산은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며 한 발도 물러서지 않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도 전날 멕시코 국경장벽 건설 예산을 받아낼 때까지 셧다운 사태가 계속될 것이라고 엄포를 놨다. 셧다운이 장기화 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은 “연방 공무원들도 국경장벽 예산을 원하고 있다”면서 공무원들이 자신을 지지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 미국 ‘연방 근로자 연합(NFFE)’의 랜디 어윈 회장은 ‘여론 흔들기’라며 반발했다.

그는 “수많은 연방 직원들과 개인적으로 대화를 나눴고 또 많은 지부장들이 의견들을 전해주고 있는데, 국경장벽이 건설될 때까지 셧다운이 계속돼야 한다는 얘기는 단 한 번도 듣지 못했다”고 꼬집었다. NFFE는 미국 전역 11만명의 연방 근로자들을 대표하는 단체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