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이슈 강제징용 피해자와 소송

한일, 북핵해법 논의…오후엔 강제징용·레이더갈등 협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오전 북핵 수석대표 협의 개최…오후엔 한일 국장급 협의 예정

연합뉴스

한일 6자회담 수석대표 협의
[연합뉴스 자료사진] 이도훈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과 가나스기 겐지(金杉憲治)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 국장이 4월23일 오전 서울 도렴동 외교부 청사에서 열린 한일 6자회담 수석대표 협의에서 대화를 나누고 있다. 이들은 북한의 최근 전향적 움직임을 완전한 비핵화로 연결하기 위한 방안 등을 논의한다. 2018.4.23 jieunlee@yna.co.kr



(서울=연합뉴스) 이정진 기자 = 한국과 일본이 24일 북핵협상 수석대표 협의를 열고 비핵화 진전방안 등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이도훈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이날 오전 서울 종로구 도렴동 외교부 청사에서 가나스기 겐지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과 만나 남북관계 및 북미관계 동향을 점검하고 내년에 대화 모멘텀을 이어가기 위한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협의는 가나스기 국장이 자신이 관할하는 일본 공관장들의 회의에 참석키 위해 방한한 계기에 이뤄졌다.

가나스기 국장은 이날 오후에는 김용길 외교부 동북아국장과 만나 강제징용 배상 판결을 비롯한 한일관계 주요 현안에 대해 의견을 교환할 예정이다.

지난 10월 30일 일본 기업에 대한 우리 대법원의 강제동원 배상 판결로 한일 간 갈등이 불거진 이후 양국 정부 당국자가 대면 협의를 하는 것은 사실상 처음이다.

이번 협의는 대법 판결 이후 한동안 한국을 향해 거친 발언을 쏟아내던 일본 측이 최근 '한국 정부의 대응을 기다리겠다'고 밝히면서 갈등이 다소 진정되는 흐름에서 이뤄지는 것이다.

우리 측은 협의에서 배상 판결에 따른 정부의 대응방안 마련 상황을 일본 측에 설명하는 한편 과거사 문제는 그것대로 지혜롭게 풀어가되 한일관계는 미래지향적으로 발전시켜가기 위해 일본 측의 신중한 대응을 촉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일본 측은 한국 대법원 판결이 "1965년 청구권 협정에 위배된다"며 일본 기업에 피해가 가서는 안 된다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강제징용 배상 판결과 관련, 피해자 측 변호인들이 이달 초 일본 신일철주금에 '판결에 따른 손해배상 의무 이행방법 등에 대해 12월 24일까지 답변을 달라'는 요청서를 보낸 바 있어 관련 논의가 진행될 가능성도 있다.

이번 협의에서는 또 우리 해군이 지난 20일 동해상을 비행하던 일본 해상자위대 초계기에 레이더를 비춘 데 대해 일본 측이 문제를 제기할 전망이다.

우리 국방부는 당시 조난한 북한 어선을 구하기 위해 레이더를 가동한 것이라고 설명했지만, 일본 측은 연일 "공격용 레이더를 몇분간 여러 차례 겨냥했다"며 한국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연합뉴스

한일 외교당국자 악수
[연합뉴스 자료사진] 김용길 외교부 동북아시아국장(왼쪽)과 가나스기 겐지(金杉憲治)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 국장이 1월8일 오후 서울 도렴동 외교부 청사에서 열린 한일 외교부 국장급 협의에 참석해 악수하고 있다. 지난달 19일 도쿄에서 개최된 한일 외교장관회담에서 양국 국장급 협의 정례화 및 활성화에 합의한 뒤 20일 만에 열리는 이번 협의에서는 주로 위안부 합의의 향배에 대해 의견 교환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2018.1.8 hihong@yna.co.kr



transil@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