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외국계 제약사들 '환자 온전한 사회복귀' 돕는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질병 치료 넘어 사회적 치료 앞장
MSD '다나음 프로그램' 펼쳐.. 화이자제약 희귀질환 환자 응원


파이낸셜뉴스

국내 진출 외국계 제약사들이 환자들의 자립과 취업을 돕고 문화활동을 강화하는 사회공헌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 한국MSD가 실시한 암 환자 사회복귀 프로그램 '다나음 자립 교육' 현장 모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환자의 온전한 사회복귀'. 국내에 진출한 외국계 제약사들이 펼치는 사회공헌활동의 키포인트다. 항암제 등 전문의약품과 희귀난치병 치료제를 보급하는 외국계 제약사들은 기업 특성을 반영한 사회공헌 활동을 통해 환자의 사회복귀를 돕고 있다. 환자들이 치료과정에서 겪는 고통과 사회적응의 어려움을 잘 아는 만큼 '질병 치료'를 넘어선 '사회적 치료'에 힘을 보태는 것이다.

■환자 '자립' '취업' 지원

16일 제약업계에 따르면 한국MSD는 '다시 나아가는 한걸음(다나음)'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완치 판정을 받았거나 사회생활이 가능한 암 환자들의 사회 복귀와 재취업을 돕는 프로그램이다. 토크콘서트, 자립 교육, 인턴십으로 이어지는 단계별 사회 복귀 프로그램으로 암 환자들의 사전 수요 조사를 통해 선정된 상담, 사무 관리, 사진 등의 과목에 대한 맞춤형 교육을 지원한다.

한국화이자제약은 최근 전세계 7000여개 희귀질환 환자들을 응원하기 위한 '희귀질환 7000-얼룩말 캠페인'을 마무리했다. 이 프로그램은 참여형 사회공헌 프로그램으로 희귀질환 환자를 응원하는 메시지가 모일 때마다 소정의 금액을 적립하는 방식이다.

한국BMS제약 사회공헌활동은 사내 봉사활동 팀 'H2O(Heart and Hands as One)'이 주도한다. 대표적 활동은 청년 암환자 자립 지원 프로그램 '리부트(Reboot)'다. '리부트' 프로그램은 암 투병과 치료로 중단된 청년들의 삶을 재작동 시킨다는 의미다. 청년 암환자들에게 경제적·정서적 지원을 제공함으로써 이들의 사회 복귀와 자립을 돕는다.

■'문화활동'으로 사회복귀 도와

한국로슈의 대표적 사회공헌활동은 '힐링 투게더'와 '어린이를 위한 걷기 대회'다. 힐링투게더는 암 및 희귀난치성질환 환우들을 위한 맞춤형 문화예술 지원 활동이다. 지난 13일에는 프로그램 참가자들이 함께하는 '힐링 페스타'도 진행했다.

사노피코리아는 환아들을 위한 희망 메신저 '초록산타 상상학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만성질환·희귀질환·암 환아 및 청소년, 생존자 및 가족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다. 신체적 아픔을 겪는 환아들이 치료 과정과 일상생활에서 겪는 정서적 스트레스를 덜어주기 위해 마련됐다.
제약업계 관계자는 "외국계 제약사들은 주로 다루는 의약품 특성상 환자들의 일상생활이 얼마나 힘든지 잘 알고 있다"면서 "질병 치료와 함께 환자의 온전한 사회 복귀를 도와 '진정한 치료'에 힘을 쏟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juyong@fnnews.com 송주용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