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끝내 열린 지상파 중간광고, 어떤 모습 될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환영과 우려 극명 교차…"유료방송과 완전 동일 수준 아닐 것"

연합뉴스

[지상파 3사 제공=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이정현 기자 = 방송통신위원회가 내년 상반기 중 지상파 중간광고를 유료방송과 같은 수준으로 허용하겠다고 발표했다.

온라인 등 새로운 플랫폼 등장으로 광고 매출이 급감한 지상파는 숨통이 트였지만, 결국 정부 힘을 빌려 위기를 돌파하려는 지상파를 보는 타 매체와 다수 시청자 시선은 곱지 않다.

방통위 결정 후에도 식지 않는 양측 논쟁을 정리하고, 중간광고 도입에 따른 지상파 추가 수익과 중간광고 형태 등을 전망해본다.

연합뉴스

[한국방송협회 제공=연합뉴스 자료사진]



◇ 방송협회 "허용 환영" vs. 신문협회 "매체 불균형"

방통위는 오는 18일 공식적으로 관련 입법예고를 할 예정이다. 이에 한국방송협회와 지상파들은 일제히 환영의 뜻을 나타냈다.

방송협회는 13일 "지상파 방송 중간광고 허용에 환영한다"며 "약속드린 바와 같이 중간광고로 들어올 추가 재원은 콘텐츠 제작 투자와 외주 상생을 위해 쓰겠다"고 강조했다.

지상파들은 중간광고 허용과 관련해 '특혜'나 수신료 관련 이슈가 불거질까 우려해 공식 입장을 내지는 않지만 내부에서는 안도의 한숨을 내쉬는 분위기다.

한 지상파 방송사 관계자는 "한동안 지상파가 우월적 지위에 있었던 게 맞지만 종합편성채널이 출범하고 비대해지면서 이제는 상황이 달라졌다"며 방통위 결정은 자연스러운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유튜브, 넷플릭스 등 새로운 플랫폼이 등장하는 가운데 지상파들은 방송의 중심을 잡고 기술 표준을 세우는 등 자본이 필요한 일이 많다. 중간광고가 그 기반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하지만 지상파 호소에도 지상파보다 더 어려운 환경에 처한 타 매체나 시청에 어느 정도 불편을 겪게 될 시청자 반응은 아직 냉랭한 게 사실이다.

신문협회는 최근 성명에서 "중간광고가 도입될 경우 지상파방송은 해마다 1천114억∼1천177억원의 수익을 올리지만 신문광고비는 201억∼216억원씩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매체 간 불균형이 심화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네이버 아이디 'sbjo****'는 "중간광고를 할 거면 시청료(수신료)를 받지 말아야 한다"고, 'theh****'는 "지금도 프리미엄CM을 하는데 거기서 더 쪼개서 광고를 할 수 있게 해주겠다는 건가"라고 꼬집었다.

연합뉴스

[한국신문협회 제공=연합뉴스 자료사진]



◇ 실제 추가 수익은 얼마…"1천억 내외"

전문가들이 예측하는 중간광고 도입 후 기대 수익은 최소 700억원대에서 최대 1천억원대에 이른다. 증가율로 따지면 4~12% 정도다.

광고효율성(ADRATIO) 증가율을 이용해 총광고 시청 변화량으로 추정한 이규완·박완기(2004)의 연구에서는 1천498억원의 추가 수익이 전망됐다.

이번에 방통위 결정대로 케이블TV 수준으로 중간광고를 허용할 시 광고 매출 증가분을 계산한 한은경 외(2007)는 1천170억원으로 예상했다.

수백억원대 제작비가 투입되는 드라마가 흔해진 최근 시장에서 1천억원대 수익은 그리 큰 금액은 아닐 수도 있다.

그러나 최근 '대세 플랫폼'인 유튜브가 국내 인터넷 동영상 광고 시장에서 차지하는 매출액이 1천169억원(메조미디어 리포트 기준)으로, 이 금액이 해당 시장 전체에서 40.7%를 차지하는 것을 고려하면 적은 액수도 아니다.

한 지상파 관계자는 "제작진을 키워놓으면 종편이나 케이블 채널에서 다 데려가는 현실에 유튜브, 넷플릭스 등 해외시장과도 경쟁해야 하는 형편"이라며 "중간광고 도입으로 시청자 불편이 있겠지만 큰 틀에서 이해해주면 좋겠다"고 토로했다.

연합뉴스

4기 방통위 전체회의
[연합뉴스 자료사진]



◇ 케이블 수준 광고는 고립 자초…"세부형식은 고심"

방통위는 방송법 시행령 일부 개정안을 통해 지상파방송에도 유료방송과 동일한 수준의 중간광고를 허용할 방침을 밝혔다.

중간광고가 시작됨을 자막으로 알리는 경우 자막 크기를 화면의 32분의 1 이상으로 의무화하는 등 시청권 침해를 최소화하는 내용도 포함하기로 했다.

그러나 어디까지나 유료방송과 동일한 '수준'이지, 동일하다는 것은 아니다. 만약 지상파에서 유료방송처럼 대부업 광고나 선정적인 광고를 내보낸다면 대중은 물론 방송계 내에서도 비판이 발생할 게 명약관화하다.

지상파도 이런 우려를 의식한 듯 방송협회를 통해 "지상파방송은 타 매체와 달리 대부업, 암호화폐 등 시청자 피해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광고는 일절 방송하지 않는 등 자발적으로 엄격한 내용규제를 해왔다"며 "중간광고가 허용돼도 모범적인 광고를 실천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중간광고 삽입 시점이나 시간 등 세부 형태는 내년이 돼야 윤곽이 나올 전망이다.

방송가 관계자는 "일단 다음 주 입법예고 때 좀 더 구체적인 내용이 나올 것으로 전망하며, 유료방송 수준의 허용이 실질적으로 어느 정도까지일지는 내년 중간광고 도입 전이 돼야 알 수 있을 것 같다. 그전까지 다양한 논쟁이 이어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lisa@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