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국내 제조기업 "내년 수출, 올해와 비슷하거나 다소 악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시아경제

제조업 내년도 수출 전망(자료: 한국경제연구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권성회 기자] 내년도 우리나라 제조업 수출 전망이 올해와 비슷하거나 다소 악화될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경제연구원이 지난달 3일부터 이달 3일까지 제조업 매출 1000대 기업(응답기업 157개사)을 대상으로 내년도 수출 전망을 조사한 결과, '올해와 유사할 것'이라는 응답 비율(58.0%)이 가장 높았다. 다만 '악화될 것'이라는 응답(23.6%)이 '개선될 것'이라는 응답(18.4%)보다 많았다.

유환익 한경연 상무는 "응답기업 10개사 중 8개사가 내년도 수출을 올해와 비슷하거나 나빠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을 의미한다"며, "보호무역주의 확산, 글로벌 경기침체 등으로 내년도 수출여건이 녹록하지 않은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내년도 수출 악화 전망이 개선 전망보다 우세한 업종은 반도체·일반기계·석유화학·자동차·철강·자동차부품·섬유 등 7개로 집계됐다. 반면 수출 개선 전망이 악화 전망보다 우세한 업종은 선박·디스플레이·컴퓨터·가전 등 4개로 나타났다. 무선통신기기는 내년도 수출실적이 올해와 비슷한 수준을 보일 것으로 봤다.

수출 기업들은 '내년도에 가장 우려되는 수출환경'으로 보호무역주의 확대(19.7%)를 꼽았다. 그 다음으로 ▲주요 수출 대상국 경기부진(19.1%) ▲수출 경합국과의 경쟁심화(17.8%) ▲환율변동성 확대(14.6%) ▲유가 및 원자재가 상승(14.0%) ▲글로벌 정치·경제 불안(13.4%) 순으로 응답했다.

기업들이 내년도 수출확대를 위해 가장 중점을 두고 있는 사항은 수출시장 다변화(30.6%)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어 ▲원가 절감(28.7%) ▲글로벌 보호무역주의에 따른 통상압력 대응(12.1%) ▲신제품 개발(11.5%) ▲해외마케팅 강화(10.8%) 등이 뒤를 이었다.

또 기업들이 수출확대를 위해 전략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국가로는 ▲중국(37.6%) ▲미국(20.4%) ▲동남아(16.6%) ▲일본(7.0%) ▲서유럽(6.4%) ▲중동(4.5%)의 순으로 나타났다.

권성회 기자 street@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