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특허청 "지식재산 금융 2022년까지 2조원 규모로 키운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대전CBS 김화영 기자

노컷뉴스

11일 지식재산(IP) 금융활성화 종합대책을 발표하는 박원주 특허청장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부가 지식재산 금융의 규모를 오는 2022년까지 2조원 규모 키우기로 했다.

특허청(청장 박원주)과 금융위원회(위원장 최종구)는 11일 정부대전청사에서 이같은 내용의 '지식재산(IP) 금융 활성화 종합대책'을 공동으로 발표했다.

지식재산(Intellectual Property) 금융은 특허권, 상표권, 디자인권 등 지식재산의 가치를 평가받아 그 결과를 토대로 금융기관으로부터 자금을 융통하는 일련의 금융활동을 의미한다.

정부의 이번 대책으로 자금난을 겪고 있는 중소·벤처기업이 선진국과 같이 지식재산(IP)을 통해 보다 원활하게 필요 자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번 종합대책은 기계, 원자재, 지식재산권 등 동산을 활용한 중소‧벤처기업의 원활한 자금조달 지원을 위해 지난 5월 발표한 '동산금융 활성화 추진전략'의 후속조치다.

4차 산업혁명을 맞아 지식재산이 국가와 기업의 경쟁력과 부가가치의 원천으로 그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지만 부동산 담보와 신용도에 의존하는 금융관행, IP가치에 대한 인식 미흡, 법제‧인프라 취약 등으로 국내에서는 지식재산이 금융에 적극적으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중소기업 중앙회의 2017년 중소기업 금융이용 및 애로실태 자료에 따르면 중소기업의 금융기관 대출조건은 95.7%가 부동산 담보 및 신용도 위주로 이뤄지고 있다.

이에따라 우수 특허를 보유하고 있지만 부동산이나 신용도가 부족한 기술집약형 중소·벤처기업은 사업화 자금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정부는 IP금융을 활성화해 자연스럽게 혁신분야로 시중자금이 유입돼 신규고용 창출 및 우리경제의 활력 증대로 이어질 수 있도록 종합대책을 마련했다.

특허청과 금융위원회는 IP금융 지원 기업을 올해 741개에서 오는 2020년 1,600개, 오는 2022년에는 2,960개로 늘리는 등 앞으로 5년 동안 9,000여 개 중소기업이 IP금융을 이용해 더 나은 조건으로 자금조달을 받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2017년 3,670억대에 머물고 있는 IP금융 규모를 2020년에는1조원으로 늘리고 2022년까지는 2조원 규모로 성장시킬 방침이다.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