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4 (일)

이슈 무병장수 꿈꾸는 백세시대 건강 관리법

[건강한 가족] "뇌졸중 안전망 구축해 지속 가능한 치료 환경 조성해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인터뷰 나정호 대한뇌졸중학회 이사장
중앙일보

뇌졸중은 국내 사망 원인 3위 질환이다. 한 해 약 10만 명의 환자가 발생한다. 고령 사회에 접어들며 환자 증가세는 더 가팔라질 전망이다. 뇌졸중 치료 시설·인력을 확충하는 인프라를 구축해 국민들이 뇌졸중을 안정적으로 치료받을 수 있도록 지속 가능한 진료 환경을 조성하는 데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다. 대한뇌졸중학회 나정호(인하대병원 신경과 교수) 이사장에게 국내 뇌졸중 치료 환경의 발전 방향을 들었다.



Q : 국내 뇌졸중 치료 성적은.

A : “국내 뇌졸중 치료 성과는 최상위 수준이다. 지난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45세 이상 허혈성 뇌졸중 입원 환자의 30일 내 사망률은 3.9%로 OECD 회원국 평균(8.2%)을 밑돈다. 국내 뇌졸중 임상 분야 발표 논문 수는 세계에서 8위, 아시아에서는 일본에 이어 2위다. 논문 발표 성장률은 전 세계 평균의 두 배가 넘는다.”




Q : 그런데 왜 환자의 상당수는 뇌졸중을 제대로 치료받지 못하나.

A : “복합적인 이유가 있다. 뇌졸중 치료 기술은 계속해서 발전해 어느 정도 궤도에 올랐다. 이런 치료 기술이 환자에게 적용되려면 환자가 제때 뇌졸중 치료 병원을 찾을 수 있는 시스템이 갖춰져야 한다. 그러려면 첫째, 뇌졸중에 대한 대국민 홍보가 강화돼 뇌졸중 환자·보호자가 증상을 인지하고 119에 곧바로 연락해 응급실로 가 치료받아야 한다.

둘째, 이런 뇌졸중 환자가 제대로 치료받을수 있도록 시설·인력을 갖춘 뇌졸중센터로서 기능하는 병원이 충분히 갖춰져야 한다. 셋째, 환자 이송 과정에서 119대원들이 뇌졸중 의심 환자를 선별해 뇌졸중 치료가 가능한 병원으로 보내는 이송 체계가 갖춰져야 한다. 이 세 가지를 보완하고 발전시키는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




Q : 뇌졸중 안전망 구축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는.

A : “뇌졸중은 사망의 주요 원인일 뿐 아니라 반신마비·실어증·치매 같은 장애를 남기는 질환이다. 그 어떤 질환보다 폐해가 크고 들어가는 비용도 많다. 단일 질환으로는 가장 많은 입원비가 필요하다. 당장의 손익계산 때문에 인력·시설에 투자하는 비용을 외면하면 환자가 제때 치료받지 못해 상태가 나빠지고 궁극적으로는 전체 의료비가 올라간다. 뇌졸중 안전망 구축은 장기적인 안목을 갖고 투자가 필요한 사안이다.”




Q : 지속 가능한 치료 환경의 핵심은.

A : “전문 인력을 확보하는 것이 과제다. 24시간 365일 대기하며 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이 부족한 상황이다. 뇌졸중을 보는 의료진은 주로 응급실에서 근무한다. 분초를 다투며 검사와 응급 시술·수술을 하고 환자 1명을 3~4시간씩 관찰해야 한다. 하지만 보상이 적어 뇌졸중을 전공하려는 의사가 줄어들고 있다. 아무리 좋은 치료법이 나오고 시설이 갖춰져도 이를 시행할 의사가 없으면 지속 가능한 치료 환경 구축은 불가능하다.”




Q : 치료 환경 개선을 위한 학회의 다음 계획은.

A : “뇌졸중 인력·시설 기준을 갖추고 임상 진료 지침에 따라 표준 치료를 하는 뇌졸중센터가 어디인지 내년 초께 발표할 계획이다. 다만 병원 입장에서는 뇌졸중센터로 인증을 받았을 때 이에 대한 보상이 있어야 시스템을 지속해 나갈 텐데 아직은 의료 수가 같은 보상이 뒷받침되지 못하고 있다. 이 문제도 풀어나가야 한다.

이 밖에 독거노인의 경우 뇌졸중이 발생했을 때 이송 문제가 큰 걸림돌이다. 보호자나 요양보호사가 연락이 안 돼 집에 찾아갔더니 환자가 뇌졸중으로 쓰러져 있는 걸 발견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독거노인 이송 문제를 다룰 수 있는 시스템과 정책 제언도 함께 해나갈 예정이다.”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