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2018국감]"코레일과 5개 자회사 임원 35%가 '캠코더' 인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4일 이학재 의원, 바른미래 '공공기관 친문백서' 분석해 발표

코레일네트웍스 67%로 가장 높아

[이데일리 이승현 기자] 현 정부 들어 코레일과 코레일의 5개 자회사에 임명된 임원의 35%가 ‘낙하산 인사’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24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이학재 바른미래당 의원이 지난 9월 바른미래당이 발표한 ‘공공기관 친문백서 : 문재인 정부 낙하산·캠코더 인사현황’을 분석한 결과,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1년 4개월 동안 코레일과 5개 자회사에 임명된 임원 37명 중 13명이 문재인 대선 캠프, 시민단체 활동 등 코드 인사, 더불어민주당 출신의 이른바 ‘캠코더’ 인사인 것으로 확인됐다. 비율로는 35%로, 이는 국토부 산하기관의 평균 28%(129명 중 36명), 전체 공공기관 평균 22%(1651명 중 365명)보다 훨씬 높은 수치다.

‘캠코더’ 인사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코레일네트웍스로 67%에 달했고, 이어 코레일로지스가 50%, 코레일 33%, 코레일유통 33%, 코레일테크 17%, 코레일관광개발 17% 순이었다.

특히 코레일네트웍스는 사장을 포함해 상임이사, 비상임이사 등 현 정부 출범 후 임명된 6명의 임원진 중 4명이 여권 출신이었다. 코레일네트웍스는 역사 시설 관리와 발권 업무 등을 담당하는 자회사로, 바른미래당 백서를 통해 ‘캠코더’ 인사로 분류된 임원진 중 코레일네트웍스 사업과 관련된 경력을 가진 인사는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학재 의원은 “코레일과 코레일 자회사 내 낙하산·캠코더 인사의 비중이 국토부 산하 다른 기관뿐만 아니라 전체 공공기관보다 높다”며 “낙하산 논란이 일고 있는 임원들의 주요경력을 보면 철도 업무와는 관련이 없고, 대선캠프나 시민단체, 여당 경력이 대부분”이라고 지적했다.

이데일리

코레일 및 자회사 캠코더·낙하산 인사 현황 (출처=바른미래당 공공기관 친문백서)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