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과일소주’에 동남아가 흠뻑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헤럴드경제

국내에선 인기가 시들해진 과일소주가 동남아 등 해외에선 크게 성장 중이다. 사진은 베트남 하노이 하이트진로포차에서 베트남 여성들이 ‘자몽에이슬’을 먹는 모습. [제공=하이트진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하이트진로 올 수출 220% 성장

롯데주류 ‘순하리 딸기’ 고급술 인식

고도수 증류주시장 ‘틈새’ 공략 성공

불과 3년여 전 주류시장에서 돌풍을 일으킨 과일맛소주는 그 인기가 금세 수그러들었다. 최고 15%까지 치솟았던 주류시장 점유율은 현재 1% 수준까지 떨어졌다. 반면 해외에선 주류의 저도화 트렌드와 현지 맞춤형 상품 등에 힘입어 동남아 지역에서 세자릿수 성장세를 이어가는 등 과일소주 인기가 고공행진 중이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하이트진로의 과일소주 시리즈(자몽에이슬, 청포도에이슬 등)는 올 들어 동남아 국가 수출 규모가 지난해에 비해 220% 이상 성장하며 인기를 끌고 있다. 특히 필리핀과 캄보디아, 베트남에선 최근 3년간 연 평균 400% 성장률을 기록 중이다.

이들 수출국에선 기존 과일소주 외 신상품 문의도 이어지고 있다. 이에 하이트진로는 올해 1월 해외 전용상품인 ‘자두에이슬’을 선주문받아 출시했다. 자두에이슬은 해외 인기를 등에 업고 국내에 최근 역출시되기도 했다.

베트남 등 동남아 국가의 주류 시장은 맥주와 증류주로 양분돼있다. 증류주는 보드카, 럼, 위스키 등 30~40도 고(高)도수 제품이 대부분이다. 이 가운데 상대적으로 도수가 낮은 소주가 대체제로 부상하며 순한 증류주 시장을 열고 있다는 분석이다. 특히 과일소주는 일반 소주보다 음용하기 편하다는 점에서 여성과 젊은 소비층 호응이 크다고 관계자는 설명했다.

과일소주 인기는 이색적인 음주 문화도 만들어내고 있다. 현지 관계자에 따르면 캄보디아에선 과일소주를 각자 한 병씩 시켜 병째 즐기는 풍경을 흔하게 목격할 수 있다. 또 현지 소비자들 사이에선 자몽에이슬을 활용해 칵테일 만드는 법도 인기를 끌고 있다.

하이트진로 관계자는 “동남아 등에서 레귤러 소주도 성장세가 크지만 과일리큐르 시장은 더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다”며 “해외 소비자의 입맛과 눈높이에 맞는 제품을 지속적으로 개발해나갈 계획”이라고 했다.

롯데주류의 과일소주 ‘순하리’ 시리즈도 해외시장에서 몸값이 쑥쑥 오르고 있다.

베트남과 말레이시아에서 올해(1~9월) 과일소주 매출은 전년 대비 약 20% 신장했다.

수출 전용 제품인 ‘순하리 딸기’와 ‘순하리 블루베리’를 포함해 한국에서도 판매 중인 ‘순하리 유자’, ‘순하리 사과’ 등이 주요 동남아 국가에 수출되고 있다. 동남아에선 기후 특성상 딸기가 고급 과일로 인식돼 ‘순하리 딸기’의 인기가 높은 편이다. 특히 캄보디아에선 순하리가 고급 술로 자리매김하면서 결혼답례품으로도 활용되고 있다고 관계자는 귀띔했다.

이혜미 기자/ham@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