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이데일리 W페스타 특별세션1
“여성의 변화? 다양한 이야기 욕구 늘어나”
“그럼에도 성고착화 지양해야”
사진=방인권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데일리 김윤지 유현욱 기자]“청취자도, 제작자도 다양한 여성 캐릭터를 원하고 있다. 과거엔 보편적인 소재가 사랑 받았다면 요즘에는 좀 더 세분화됐기 때문이라 생각한다. 익숙한 사랑 이야기도, 개인적인 이야기도 실시간 음원 차트에 있다. 건강한 흐름이다.”
김이나 작사가는 16일 오후 서울 강남구 코엑스 아티움(SM타운)에서 열린 ‘제7회 이데일리 W 페스타’ 특별세션1 ‘그 여자 작사, 그 남자 작곡’에서 이처럼 말했다. 그의 오랜 음악 동료이자 이날 진행을 맡은 작곡가 김형석씨는 “대중음악에서 남녀를 나누는 게 의미가 있을까 싶다. 서로 다름을 인정하고 존중하는 것이 요즘 스타일”이라며 동의를 표했다.
2014년 저작권료 수입 1위를 기록한 김이나 작사가와 그의 손을 거친 곡만 1000여개에 달하는 김형석 작곡가, 두 음악인은 대중음악의 최전선에서 느낀 최근 변화를 솔직히 털어놨다. 2003년 데뷔한 김 작사가는 “한때 걸그룹의 미덕은 수줍음과 귀여움이었다. 사랑 받고 싶지만 부끄러운 마음을 가사로 표현했다”며 “젊은 세대는 정형화된 이미지를 탈피하고자 한다. 성역할을 고정하는 것은 낡은 시선”이라고 말했다.
사진=방인권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김이나 작사가는 2012년 가인의 ‘피어나’라는 노래를 내놨다. “나른해지는 오늘 밤, 난 다시 피어나”라는 가사처럼 당시 ‘19금 콘셉트’로 화제를 모은 곡이었다. 공개 전까지 고민도 많았다. 여성 가수의 대담한 표현이 거부감을 불러올까 하는 우려였다. 김이나 작사가는 “유혹하는 여성이 콘셉트라면 과거 여자 가수들은 스스로를 ‘섹시한 여성’으로 대상화했다”며 “‘피어나’는 여성이 남녀관계에서 느낀 점을 적극적으로 서술했다. 여성 청취자들이 좋아했다. 변화를 느꼈다”며 당시를 떠올렸다.
대표적인 예로 지난해 큰 사랑을 받은 헤이즈의 ‘널 너무 모르고’를 꼽았다. 바쁘게 살아가다 뒤늦게 사랑을 느꼈다는 내용의 가사였다. 김이나 작사가는 “남자 가수들이 사용하던 화법이라고 분류했던 이야기를 여자 가수가 사용했다. 그런데 그게 통했다. 신선한 경험이었고, 젊은 시선이라고 생각했다”고 설명했다.
이처럼 시대의 변화에 따라 음악인들의 고충도 깊어지고 있다. 김이나 작사가는 ‘센 언니’를 묘사한 2009년 브라운아이즈걸스의 ‘아브라카다브라’로 가요계에 돌풍을 일으켰다. 1979년생인 그 또한 어느새 기성세대가 됐다. 김이나 작사가는 “이제 아이돌의 가사를 쓸 때는 욕심을 부리지 않는다. 언어에는 시대가 반영된다. 젊은 친구들의 말이 있다. 그걸 제가 구사하면 더 이상 ‘힙’하지 않다. 통통 튀는 가사를 쓰던 시절은 지났다”며 “세월에서 묻어나는 깊이 있는 이야기를 노래에 담고자 한다”고 했다.
그렇지만 여성 가수들의 음악이 사랑에 국한됐다는 일부 지적엔 반박했다. 김이나 작사가는 “서운하다”고 반응했다. 김이나 작사가가 쓴 써니힐의 ‘베짱이 찬가’(2012)는 직장 여성의 어려움을 담은 곡이다. 그는 “사랑 이야기가 아닌 곡도 많다”며 “설렘의 감정은 누구나 똑같이 기억하는 감정이다. 감정이입이 쉽게 되기 때문에 그만큼 널리 사랑 받아서 그렇게 느끼는 게 아닌가 싶다”고 설명했다.
김이나 작사가는 음악으로 시대를 읽는 작사가로서 최소한 고착화된 표현은 지양하겠다고 다짐했다.
“가끔 문제점을 스스로 발견한다. 여성의 연약함을, 남성의 폭력성을 매력처럼 표현할 때다. 소극적인 여성이나 제멋대로 구는 남자는 앞으로도 제 노래에 등장한다. 그런 사람도 있지 않나. 그렇지만 힘을 남용하는 남성을 ‘상남자’로 그리거나 수동적인 여성은 배제하려고 한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