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방통위, 카드결제 통신요금 미고지 기업에 과징금 부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쿠키뉴스

방송통신위원회가 유선전화 카드결제 통신요금을 미고지한 기업들에 과징금을 부과하고 시정명령을 내렸다.

방통위는 12일 제55차 방송통신위원회를 개최하고 통신요금관련 중요사항을 미고지하여 이용자의 이익을 저해한 유선통신사업자 6개사 및 밴(VAN) 사업자 14개사에 대해 시정명령과 함께 총 3억1940만원의 과징금을 부과(붙임참조) 하기로 의결했다.

당초 인터넷이 없는 영세자영업자들이 유선전화를 이용해 카드결제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카드단말기에서 15xx 등 대표번호에 전화를 거는 방식으로 카드결제를 하면서 3분당 39원(부가세 제외)의 요금을 부담해 왔다.

다만 실제 카드를 결제하면서 통화하는 시간은 3분보다 짧으므로 2012년 정부는 카드결제호처리서비스를 위해 '1639' 국번을 부여했고, 유선통신사업자는 밴 사업자를 위한 전용서비스인 '카드결제호처리서비스' (24원/건당, 이하 1639서비스)를 출시하고 이를 이용약관에 반영했다.

그러나 종전보다 저렴한 전용요금제인 '1639서비스'가 출시된 지 5년이 지나도록 이를 이용하는 소상공인이 없다는 국회 지적 및 언론 보도 등에 따라 방통위는 지난 3월부터 유선통신사업자와 밴(VAN) 사업자 등 총 23개사에 대해 현황조사를 실시했다.

방통위에 따르면 전기통신사업자가 이용자와 통신서비스 이용계약을 체결할 때 이용요금 등 중요한 사항을 설명 또는 고지하여야 하며, 약정기간 만료 후에는 이용조건 및 이용요금의 할인 등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 여부를 사전에 설명 또는 고지하여야 한다.

방통위 조사 결과에 따르면 6개 유선통신사업자는 전기통신사업법의 이용자에 해당하는 14개 밴(VAN) 사업자와 대표번호서비스 이용계약을 체결하면서 2012년 10월 이후 약정기간이 만료되어 재약정 내지 신규 가입하는 밴(VAN) 사업자에게 동일한 형태의 서비스로 더욱 저렴한 '1639서비스' (24원/건당)의 이용이 가능하다는 점을 설명 또는 고지하지 않았다. 또 14개 밴(VAN) 사업자는 위탁 대리점을 통해 신용카드 가맹점과 대표번호서비스가 입력된 카드결제 단말기를 사용하는 이용자(가맹점)와의 이용 계약(재계약 포함) 체결 시 카드결제시마다 별도의 통신 이용요금(39원/3분이내)이 부과된다는 사실을 설명 또는 고지하지 않는 등 전기통신사업법상 이용자의 이익을 현저히 해치는 방식으로 서비스를 제공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방통위는 고지의무를 소홀히 한 유선통신사업자와 밴 사업자에게 ▲금지행위의 즉시 중지, ▲금지행위로 인하여 시정조치 명령받은 사실의 공표, ▲업무 처리절차 개선, ▲시정조치 이행계획서를 제출하도록 시정명령을 하기로 했으며, 19개사에 대해 총 3억1940만원의 과징금을 부과하기로 의결했다.

이효성 방통위원장은 '이번 시정조치는 전기통신사업자가 이용자와 서비스 계약 시 이용요금 및 이용조건에 대한 고지를 명확히 하여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여 이용자의 선택권을 강화하고 영세 소상공인의 통신비 절감에 기여하도록 한 의미가 있다'면서 '방통위는 이용자에게 이익이 되는 새로운 제도나 서비스가 도입된 경우 시장에서 제대로 그 효과가 나타나고 있는지 관심을 갖고 점검하여 정보통신서비스 이용자의 권익 보호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승희 기자 aga4458@kukinews.com

쿠키뉴스 이승희 aga4458@kukinews.com
저작권자 © 쿠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